지난해 상위 20% 계층(5분위)의 소득이 하위 20%(1분위)의 5.8배 수준을 기록했다. 분배 지표는 시장에서는 악화됐지만 재난지원금 등 공적지원금이 더해지면서 개선으로 전환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2020년 기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은 5.85배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0.40배포인트 개선됐다. 이는 상위 20% 소득 평균값이 하위 20%의 5.85배라는 의미다. 시장소득으로 본 5분위배율은 11.37배로 2019년의 11.56배에서 0.19배포인트 개선됐다.
연령별로 보면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에서 분배 개선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은퇴 연령층의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7.21배에서 6.62배로 0.59배 포인트 개선됐다. 이들은 시장소득의 비중이 작아 공적이전소득으로 인한 분배 개선 폭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분위별 소득을 보면 1분위의 시장소득은 68만1000원에서 70만6000원으로 3.7% 늘어난 반면 재난지원금 등을 고려한 처분가능소득은 107만2000원에서 117만9000원으로 10.0% 증가했다. 5분위 시장소득은 2.0%, 처분가능소득은 2.8% 늘어났다.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5분위보다 3.6배 높았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균등화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405로 2019년의 0.404보다 0.001 높아졌다. 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9에서 0.331로 0.008 개선됐다. 공적이전소득을 반영하면 분배가 개선된 것이다.
균등화 시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21.3%로 2019년의 20.8%보다 0.5%포인트(P) 높아졌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 수를 전체 인구로 나눈 비율이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보면 상대적 빈곤율은 15.3%로 2019년 16.3%에서 1.0%포인트 낮아졌다. 처분가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 연간 개선 폭은 2011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 증가 폭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하면서 1분위부터 5분위까지 소득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소득분배지표가 개선되는 쪽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임 과장은 “지난해 소득 증가분 중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72%”라며 “재난지원금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고 덧붙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해 3대 소득·분배 지표가 모두 개선되면서 2017년부터 4년 연속 개선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