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미래예측 2030 대담회]“초고령화 위기를 기회로, K-로봇 선도국가 도약해야”

배일한 KAIST 교수
배일한 KAIST 교수

“2030년, 백세시대를 맞아 전통사회의 효(孝) 개념이 흔들린다. 함께 노인이 되는 자식을 대신해 기계가 노령화되는 인간사회를 떠받친다. K-로봇은 초고령화된 한국에서 로봇기술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윤리적 지향점을 가장 압축적으로 나타낸다. 초고령화 위기를 기회로 삼아서 로봇을 재규정하고 인구구조의 취약점을 인공지능(AI) 로봇기술로 증강보완 했다. 인구고령화는 대부분 국가가 맞이하는 현상으로 K-로봇 한류는 세계시장에 퍼져나간다. 한국은 로봇분야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한다.”

배일한 KAIST 교수는 지난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최한 '로봇 미래예측 2030 석학 대담회'에서 '2030 미래로봇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배 교수는 미래학 기법에 기반해 로봇자동화가 2030년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지 복수의 시나리오를 도출, '패스트 팔로워'를 넘어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패스트 팔로워 모델에 대해 “한국은 2030년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일본을 제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로봇시장이 된다”면서 “영세한 뿌리산업 노동력을 대체하고 부품 국산화 등 제한적 성과를 거둔다”고 예상했다.

다만 “테슬라, 아마존 등 글로벌 대기업의 새로운 로봇 플랫폼 사업진출에 자극을 받아 국내 기업들도 진출하지만 여전히 한국형 로봇서비스에 머물 것”이라고 우려했다. 로봇 선진국을 답습하는 모델로는 2030년 세계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배 교수는 “사람 대신 배달로봇이 24시간 택배를 나를 수 있게 규격이 갖춰진 로봇프리 아파트가 늘며 초로켓배송이 실현되겠지만 팍팍한 삶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면서 “피해의식이 커지는 청년세대와 너무 길어지는 노년기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인 기성세대에게 또 다시 다가올 2040 로봇세상의 편리함은 공허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세계 3위를 넘어 경쟁국보다 먼저 콘셉트를 정하고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로 대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퍼스트 무버'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 한국정부는 노동인력 감소로 인한 사회적 충격이 현실로 다가오자 새로운 고령화 대책을 마련한다. 중장년층 세대 활동 능력을 업그레이드하고 더 오래 유지하도록 새로운 기술과 제도를 총동원한다. 2020년대 후반 AI와 결합한 로봇 기술을 통해 개인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로봇 서비스들이 등장한다.

배 교수는 “정부는 국가적 어젠다로 백세 활동시대를 내세우며 장년층 이상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 로봇 보급과 AI 서비스 보급에 주력, 노동인구가 부족해 자동화가 가능한 분야는 로봇밀도가 더 올라갈 것”이라면서 “초고령화되는 한국 사회 위기를 기회로 삼아 AI 로봇 기술로 인구구조 취약점을 증강보완, 해외에서도 한국 사례를 벤치마킹한 K-로봇 한류로 한국은 로봇분야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