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구삐, 민간 플랫폼 흡수 확대, 목적은?

[해설]구삐, 민간 플랫폼 흡수 확대, 목적은?

국민비서 서비스는 정부부처에서 발송하는 안내문이나 고지 등 개인에게 필요한 행정정보를 받을 수 있어 국민적 관심이 높다. 백신 접종, 국민지원금, 교통범칙금 등 생활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고객 유입 확보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할 수 밖에 없다.

새해 본격화할 마이데이터, 공인전자문서중계와 시너지도 기대된다.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빅테크뿐만 아니라 금융사, 이동통신사까지 앞다퉈 뛰어드는 이유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여개 기업이 국민비서 서비스 유치를 위해 연초부터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서 교통범칙금 같은 정부 알림을 제공하면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서 “향후 마이데이터, 공인전자문서중계, 사설인증서 등과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를 대폭 늘려 플랫폼 규모를 키울 수 있다.

현재 국민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3개사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빅테크 영향력은 날로 커졌다. 백신 접종과 국민지원금 지급과정에서 국민들에게 빠르고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국민비서 서비스 가입자는 가파르게 성장했다. 현재 가입자 수는 1400만명에 달한다.

반면 기존 은행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모든 금융사가 플랫폼 기업 전환을 외쳤지만, 빅테크·핀테크와 생존 경쟁에서 뒤떨어져서다.

기존 금융사는 억울하단 입장이다. 정부가 올해 초 국민비서 서비스 제공기업을 선정하면서 애초 금융사를 거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금융권에선 '기울어진 운동장'을 지적해왔다. 금융사는 지금이라도 반드시 국민비서 서비스를 따내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은행권은 하나의 금융앱 플랫폼에서 각종 고지서를 받고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금융 월렛(지갑)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은행이 국민비서 서비스에 뛰어드는 배경엔 데이터 시장 선점을 위한 배수진도 깔려 있다. 국민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면 내년에 개화할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용정보 기반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일상생활에서 챙겨야 할 각종 고지서를 알아서 해결해 주는 금융슈퍼앱을 만든다는 복안이다.

행안부는 추가 사업자 선정에서 기업 개수를 제한하진 않았다. 다만 대중적인 플랫폼과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융사들은 국민비서와 함께 생활 밀착형 서비스 확보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음식 배달, 택배, 라이브커머스, 축산물 구매 등 생활 서비스를 자체 모바일 앱에 탑재하는 추세다.

궁긍적 목표는 플랫폼 금융으로의 변신이다. 소비자들의 생활 데이터와 결제 정보 등을 활용해 새로운 금융 결합 상품 제공 등을 준비중이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