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국가적 차원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27일 발표했다.
2050 국가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농식품 분야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2470만톤 대비 38% 감축하기로 한 바 있다. 이날 발표한 추진전략에는 저탄소 구조 전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전환 등 구체적 이행방안을 담았다.
정밀농업, 환경친화적 농업의 확산 등을 통해 저탄소 농업구조로 전환하면서, 벼 재배 및 가축사육 등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감축하는 한편, 유통·소비 분야에서도 최대한으로 감축해 나갈 계획이다. 또 농업·농촌 분야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공급도 확대한다.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기반 마련을 위해 기존 고투입 관행농업을 저투입 저탄소 구조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정밀농업 기술'을 2050년까지 전체 농가의 60%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정밀농업 기술 보급률을 지난해 0%에서 2030년 10%, 2040년 30%, 2050년 6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활용한 생육모델 개발을 위해 2025년까지 30개 품목 빅데이터를 1000개 우수농가에서 확보한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정밀농업 기술은 현장 실증을 거친 후 시설 및 노지 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활용해 스마트 농업 표준 모델을 개발·실증하고, 콩·사과 주산지에 데이터 기반 스마트 농업단지를 조성하여 '25년까지 시비·방제·급수 등 분야별 솔루션을 개발한다. 2024년부터 지능형 농기계, 로봇 등 차세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환경친화적 농업 확산'을 목표로 화학비료를 절감, 2050년까지 친환경농업 면적을 전체 경지면적의 30%까지 확대한다. 내년에는 '친환경 집적지구' 중심으로 친환경농업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집적지구 개념, 지정기준, 인센티브 등의 법제화를 검토한다. 학교급식·로컬매장·대형유통업체·온라인마켓 등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2025년까지 친환경농업 체험이 가능한 유기농복합서비스단지 10개소를 조성한다.
농업 생산·유통·가공 시설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에너지 절감 시설 보급을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진한다. 내년부터 집단화된 온실단지를 중심으로 산업폐열 등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하고, 온실 등의 에너지 절감시설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종훈 농식품부 차관은 “농업 분야는 작물 생산, 가축 사육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면서 “감축 과정에서도 식량 생산이 줄거나 축산 생산성이 떨어지는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럼에도 농식품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기후변화 완화의 시급성을 고려해 최대한의 목표치를 설정했다”면서 “농식품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충실히 이행해 우리 농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