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 서비스 1년…"또 만들자" 카드사 '당혹'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 서비스 1년…"또 만들자" 카드사 '당혹'

여당이 신용카드와 멤버십카드 등 포인트와 항공사 마일리지 등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공약을 선언하면서 카드업계가 당혹해하고 있다. 1억원 이상 비용을 들어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서비스 개시 1년 만에 추가 구축을 위한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정치권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0대 도전 과제' 공약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카드업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공약은 매년 발행되는 포인트와 마일리지가 4조원가량이며 이 가운데 3000억원이 기한 만료로 사용하지 못한다면서, 소비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사전에 조회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추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 목표다.

다만 이런 공익적인 이유에도 카드업계는 당황스럽다는 분위기다. 현재 카드업계는 카드 이용자 포인트를 조회해 현금으로 찾을 수 있는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을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여신금융협회, 금융결제원은 지난해 1월 여신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계좌이체' 애플리케이션(앱)·홈페이지 혹은 금결원 '어카운트인포' 앱을 통해 흩어져 있던 여러 카드사 포인트를 한 번에 조회하고 현금으로 전환해 계좌 입금이 가능한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서비스 개시 일주일(7.5일) 동안 681만건이 신청돼 778억원이 현금으로 이체됐다. 현재 지난해 9월까지 실적만 총 2090만건 신청, 2293억원이 현금화돼 금융당국도 국민 정책 체감도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내렸다.

이런 상황에 정치권에서 항공사 마일리지, 통신 포인트까지 함께 조회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는 공약을 내면서 카드사가 부담스러워하는 것이다. 실제 카드업계가 해당 시스템 구축을 위해 들인 비용만 1억5000만원에 달한다. 여기에 시스템 유지·보수 비용까지 포함하면 2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취지는 좋지만, 결국 이런 공약의 실제 이행은 업계가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카드사의 경우 동일한 시스템이 있음에도 결국 정치권에서 밀어붙이면 추가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정치권이 인기몰이를 위해 무리하게 금융사들에게 부담을 지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말 당정(여당·정부)은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를 결정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를 돕는다는 것이 명분이다. 카드사 카드업 손실이 매년 증가함에도 실제 수수료율 인하를 결정한 것이다. 여신금융협회는 2019년부터 2년간 카드사 가맹점수수료 부문 영업이익이 1317억원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