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합종연횡…'초광역권 사업' 가속

'균형발전법' 수정안 국회 통과
4차 산업혁명·탄소중립 시대
지방 간 연계·협력 필요성 커
부울경 수소생태계 등 본격화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가 초광역권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전국 광역 지자체는 시·도를 뛰어넘어 초광역권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법적근거인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수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초광역권 사업' 논의에 착수했다. 공포일 6개월 후 시행되는 초광역권 협력은 2개 이상 지자체가 참여하고 정부는 행정·재정지원을 할 수 있다.

지자체들은 수도권의 지나친 집중과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해 중앙과 지방, 지방과 지방 경계를 초월한 연계·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이 지난해 11월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행정안전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합동추진단장회의.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할 사무를 결정했다.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이 지난해 11월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행정안전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합동추진단장회의.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할 사무를 결정했다.

초광역협력 사업의 대표적 사례는 부산·울산·경남 '부울경 동남권 메가시티' 구상이다. 부울경을 행정, 생활, 경제, 문화공동체로 한데 묶어 2040년까지 동북아 8대 메가시티로 우뚝서겠다는 전략이다. 국내 첫 메가시티 출범을 앞둔 부·울·경은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을 공동 추진한다.

부·울·경 지역 경계를 이동하는 시내버스 노선에 수소버스를 투입해 정부가 추진중인 2050 탄소중립 계획에 부합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설립해 대구·경북 경제·생활권역의 발전에 필요한 초광역 연계·협력사업을 추진한다. 대구·경북 통합경제권을 위해 로봇산업과 미래형모빌리티, 바이오·메디컬 산업 육성에 협력해 혁신성장 사다리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학·연·정 연계 강화로 미래형 혁신인재 1만명을 육성하고 공항과 광역교통망 구축, 팔공산국립공원 승격 등 교통·관광 분야에서 초광역 협력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광주시와 전남도, 전북도도 행정 경계를 허무는 다양한 청사진을 구상하고 있다. 웰에이징 휴먼 헬스케어밸리조성 시범사업, 초광역에너지공동체 RE300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융합해 미래 핵심동력 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울산시, 강원도와 3대 핵심 거대연구시설인 국가 고자기장 연구소 유치에도 협력할 방침이다.

강원·전북·제주 등 광역시가 없는 이른바 강소권 지역도 초광역 협력사업을 논의하기 위해 활발히 접촉하고 있다. 물리적 거리로 인해 연합형태 메가시티 구상이 어려운 만큼 새만금·전북권역, 강원평화특별권역, 제주특별자치도권역 등 독자 특화발전 모델을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김선민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은 “광역협력 사업은 주민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국가균형발전의 실효성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지역 경제가 곧 나라 경제의 근간인 만큼 지역 민·관·산·학·연이 광역협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