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료연구원, 기능성 항균·항바이러스 첨가제 개발

손닿는 다양한 제품에 항균·항바이러스 기능 부여

KIMS가 개발한 기능성 항균, 항바이러스 첨가제 작동 원리와 특성.
KIMS가 개발한 기능성 항균, 항바이러스 첨가제 작동 원리와 특성.

손이 닿는 다양한 제품에 항균·항바이러스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가 개발됐다.

한국재료연구원(KIMS·원장 이정환)은 김창수 KIMS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연구팀이 제품 생산과정에 첨가하면 항균·항바이러스 특성을 띠게 되는, 투명 용액 형태의 첨가제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첨가제는 다량의 금속이온을 발생시켜 균이나 바이러스를 차단 제거한다.

제품 원료인 수지에 1~2웨이트퍼센트(wt%) 정도의 소량만 첨가해도 항균 특성 99.99%, 항바이러스 특성은 2시간 내 1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제품 물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유기 항균제 및 나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 독성도 없다.

첨가제여서 추가 공정 없이 자외선(UV) 및 열경화 작업이 가능하고, 수지에 섞여 항균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지속한다.

김창수 KIMS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
김창수 KIMS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

디스플레이용 필름에서 기능성 섬유, 가전·가구용 필름, 윈도우 필름, 차량용 내외장재, 주방·욕실·위생 용품, 의료용품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KIMS는 빠른 사업화를 위해 원내 연구소기업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김창수 책임연구원은 “현재 다양한 수요기업과 첨가제 적용 제품 양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물론 신종 감염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항균필름이나 항균코팅 제품은 엘리베이터 버튼, 문 손잡이, 터치스크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투명성이 낮아 불편하고, 오래 사용하면 훼손되거나 항균 성능도 약해진다.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