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한 특수목적 전기차(EV)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기업 지원에 본격 나섰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 150억원을 투입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주관으로 저속 특수목적 전기구동 차량을 위한 부품생태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연구원이 장비를 활용해 부품소재 신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모습.](https://img.etnews.com/photonews/2202/1500418_20220208093036_767_0001.jpg)
올해는 지역 부품기업을 대상으로 △독자기술 부품개발 △공용부품 확대 △플랫폼 개방 활용 △시험·평가 △인증대응 등 5개 분야에 대한 수혜기업을 모집해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그동안 해외 수입에 의존해 온 기존 공급부품을 대체하기 위해 독자기술 부품개발을 지원하며 특수목적 전기차 차종 및 차급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용하기 위한 공용부품 개발을 지원한다. 주관기관이 보유한 차량 플랫폼을 개방해 지역 기업의 특수목적 전기차 신규 개발에 대한 설계를 지원하고 부품 성능 확보와 인증 획득을 위한 시험·평가, 인증대응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광주시에 있는 특수목적 전기차 적용부품 등 연관 제품(기술) 분야 중소·중견기업으로, 자격 심사 및 평가를 통해 수혜기업(20건)을 선정한다.
지원 희망 기업은 25일까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홈페이지로 신청하면 된다. 현장 접수는 같은 기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에서 받는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해 공용부품 확대지원 3건, 시험·평가 지원 13건, 인증대응 지원 2건 등 총 18건을 지원했다. 수혜기업 2021년 매출 총액은 전년보다 21.3% 증가한 1524억원, 신규 고용창출 19명 등 성과를 거뒀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