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주사 서울이전으로 포항 민심 '부글부글'

포스코가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결정하면서 경북도와 포항시가 반발하고 나섰다. 50년간 포항과 함께한 포스코가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서울 설립으로 지방소멸에 앞장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포항시가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경제 및 사회단체 간담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따른 의견을 나누고 있다.
포항시가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경제 및 사회단체 간담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따른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이강덕 포항시장은 최근 공식 석상에서 포스코 경영진을 강하게 성토하고 나섰다. 이 지사는 지난 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화상회의에서 “포스코 지주회사를 수도권에 두려는 것은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일”이라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은 블록체인과 분권화인데 집중화된 수도권으로의 이전은 10년 내 후회할 일로서 미래 방향이 아닌 과거로 회귀”라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또 “박정희 대통령의 제철보국 정신으로 만들어지고 경북도민의 희생 위에서 대한민국 경제발전 원동력이 된 포스코가 이전한다는 것은 경북도민에 대한 배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7일 중대본화상회의에서 포스코 지주사 전환과 관련해 도내 시군이 공동대응에 나서달라며 호소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7일 중대본화상회의에서 포스코 지주사 전환과 관련해 도내 시군이 공동대응에 나서달라며 호소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도 기자간담회를 통해 “포스코가 포항에 처음 공장을 설립할 당시 땅값을 반값에 사들이고 포항 영일만 바다 절반을 앗아갔으며 현재까지 환경 피해를 주고 있다”며 “그런 만큼 포항에 헌신해야 하는데 국민기업이 지방소멸에 앞장서고 있어 안타깝다”고 했다. 이 시장은 또 포스코 지주회사 서울 설치 및 미래기술연구원 수도권 설치를 반대하는 사안에 대해 경북도와 시군이 공동 대응하며 힘을 모아줄 것을 요청했다.

경북도와 포항시, 도의회, 포항시의회, 시민단체들도 지역 희생으로 성장한 포스코가 지역민과 소통 없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면서 유감을 표했다. 포항시는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경제 및 사회단체 간담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따른 의견을 나누고 대책을 논의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최근 이철우 도지사와 만난 자리에서 “국가기관도 지방으로 내려가는 마당에 국민기업 포스코가 지주회사를 서울에 설치하는 것은 지방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으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지방 이탈은 경북 구미에서 LG를 비롯한 삼성, 한화 등 잇단 대기업의 수도권 이전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은 사례와 겹쳐 지역 민심을 술렁이게 한다. 경북도는 앞으로 정치권과 경제 및 시민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동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포스코 지주사 전환과 관련한 물적 분할 안건을 가결했다. 또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 본사를 서울로 이전하기로 확정했다.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