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스트레스 관리 AI로...ETRI 맞춤형 솔루션 만든다

우리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근로자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측정·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보다 편리한 스트레스 측정·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김현숙 책임연구원팀이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9일 밝혔다.

개발 중인 플랫폼 '웰마인드(WellMind)'는 애플리케이션(앱) 형태로, 스트레스 관리 전주기를 책임진다.

기존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는 맥파, 심전도, 뇌파, 피부전도도, 피부온도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수집하지만 개인별 스트레스 요인이 다양해 오차가 상당했다.

웨어러블 다비이스 기반 스트레스 측정 실험 장면
웨어러블 다비이스 기반 스트레스 측정 실험 장면

웰마인드는 웨어러블 기기뿐 아니라 온도, 습도, 소음, 미세먼지, 조명 등 근무환경 분석 및 근무시간, 업무 스케쥴 등 작업정보까지 종합 고려해 더욱 정밀하게 직장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AI 분석 모델로 수집 데이터를 학습데이터와 비교·분석해 근로자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한다. 현재 분석 모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데이터를 축적하는 단계다.

업무 스케줄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해소법 제공도 특징이다. 사용자 스트레스 정도와 선호도에 따라 차 마시기, 음악 듣기, 스트레칭하기, 명상 등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스트레스 해소 전후 상태변화를 알려줘 업무능률 및 생산성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가상현실(VR) 콘텐츠 제작을 마쳤으며 ETRI 내 리빙랩을 구축,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향후 AI 분석 모델의 완성도를 높여 활용처를 넓리고, 국내외 디지털 헬스업체 등에 기술이전도 계획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및 ETRI 내부사업 지원으로 수행 중이다. 우리나라와 핀란드,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등 5개국 17개 기관이 유럽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연구진은 문화권별로 다양한 스트레스 정보 수집 및 분석, 스트레스 해소 솔루션 선호도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유럽 컨소시엄과 함께 국가별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분석 중이다.

윤대섭 인지·교통ICT연구실장은 “EU 국가들과 함께 개발 중인 이번 플랫폼은 국내 및 유럽 산업계를 통해 사업화돼 지식 근로자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조직 멘탈 웰빙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