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ESG 경영을 위한 3가지 관점

기업사회적책임(CSR), 공유가치창출(CSV), 지속가능경영, 소셜 임팩트 등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키워드가 넘쳐 나는 세상이다. 특히 최근 사회적 화두인 환경·사회·지배구조(ESG)는 기업뿐만 아니라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관심 요소가 되며 이른바 '착한 소비'를 끌어내고 있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 중요 기준으로 삼는 움직임이 점차 커져 가는 상황이다. 이에 기업들은 ESG 경영을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으로 강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ESG 경영의 가치에 대해 크게 3가지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첫째 재무적 관점이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기업에 ESG는 비재무적 성과지표로 분류돼 필수가 아닌 선택에 가까운 경영 요소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계 최대 규모라 불리는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에서도 지속 가능성을 투자 필수 요소로 반영하고 있다. 또 국내 최대 기금이라 할 수 있는 국민연금과 규모가 큰 해외 기금들도 ESG를 고려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점점 확대 중이다.

김대연 한국엡손 이사
김대연 한국엡손 이사

ESG는 이제 더 이상 비재무적 성과지표가 아니라 그 자체가 재무적 성과지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책임 투자를 강조하는 ESG지수 또한 급성장하고 있는 요즘 기업들은 장기적 투자를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ESG 경영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둘째 경영 전략적 관점이다.

소위 경영학에서 얘기하는 '전략(Strategy)'은 여러 의미로 해석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표현은 '기업의 강점을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추는 것'이다. 나만이 잘할 수 있고, 남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강점을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춘다는 의미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친환경 트렌드와 같이 시장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을 나의 약점으로 맞출 수도 없지만 반대로 시장에서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을 나의 강점으로 접근하려는 것도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그만큼 ESG 경영이라는 큰 물결을 만난 오늘의 기업은 회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 강점을 활용해서 어떻게 더 친환경적인 제품, 서비스 등을 만들어 사회에 공헌할 수 있을지 연구하고 투자해야 한다.

프린터 하나를 만드는 데 제품의 사용만으로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낮춰서 친환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대용량 잉크 시스템으로 폐기물을 줄이며, 사무실 종이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하는 것 등이 일례일 것이다. 이처럼 기업들이 각자의 기술력을 극대화해 순환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도록 노력한다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진심을 소비자들도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인문학적 관점이다.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기업은 무엇보다 우리 사회를 인문학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지녀야 할 것이다. 모든 비즈니스의 출발점은 사회가 직면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방법과 기술을 활용해서 지역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자문하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의 다음 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기업들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는 다짐과 그 강한 의지를 기업의 경영철학에 잘 반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기업의 미션과 비전은 물론 사업 운영과 영업, 마케팅, 인사, 물류 등 기능적 전략에까지 잘 반영된 경영진의 강한 리더십이 있다면 지속 가능한 사회로 가고자 하는 우리 목표를 한 걸음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김대연 한국엡손 이사 dykim2@eps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