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코로나19 여파로 침체한 소비시장 때문에 한숨짓고 있다. 최근 경기부양책에 따른 활발한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미국 등과 달리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으면서 시장에 돈이 돌지 않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 총무성 발표를 인용해 작년 2명 이상 가구의 소비지출이 전년 대비 0.7% 증가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2019년과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4.6% 감소해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일본 근로자 가구의 평균 저축률은 34.2%로 나타났다. 한국 가계저축률은 2020년 기준 10% 수준이다. 일본은 2019년 31.4%, 2020년 35.2%에 이어 30%대를 이어 갔다. 닛케이는 2020년 정부의 국가지원금 10만엔 지급 등에 따라 저축률이 올라갔지만 작년에는 특별한 지원정책이 없었는 데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지적했다. 높은 저축률이 오히려 소비시장의 발목을 잡은 셈이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2202/1501061_20220209151036_727_0001.jpg)
작년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인 2019년보다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전역에 230일 이상 긴급사태를 내린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실질 증감률을 보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식사비 27.0%, 음주비 76.7%, 패키지 여행비 82.3% 등 큰 폭의 내림세를 나타냈다.
일본 식품서비스협회에 따르면 2021년 외식업계 매출은 2020년보다 1% 감소하면서 2년 연속 시장 규모가 축소됐다. 2019년과 비교하면 17% 하락하며 적자 기조가 이어졌다. 여행업계도 30%가량 수요가 감소하면서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닛케이는 미국 등에서는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심리가 폭발하는 '보복소비'가 나타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이 같은 경향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저축률이 높아지면서 소비 시장에 돌아야 하는 돈이 사용되지 않는 구도가 만들어졌다고 봤다. 정부가 장기간 긴급 사태를 유지한 데다 다른 국가에 비해 백신 접종 속도가 더딘 것을 주요인으로 꼽았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