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 산업경제 정책 방향의 큰 틀은 디지털 전환과 융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미디어·ICT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과 김성태 국민의힘 IT특보(ICT코리아 추진본부장)는 차기 정부의 ICT 정책 목표로 각각 '세계 디지털 경제 게임체인저',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를 제시했다. 조 의원과 김 특보는 현재 양당 선거 캠프에서 ICT 정책 수립 및 추진전략을 맡고 있다. 각각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정책공약을 대변한 것이다.
조 의원은 “디지털 경제 기반 기술인 ICT 르네상스로 전 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성장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라며 이재명 정부에서 디지털 혁신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 개발과 투자가 대폭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디지털 혁신 관련 9대 중점과제, 33대 추진방안, 77대 세부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김 특보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축으로 디지털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해당 모델을 해외 전자정부 서비스로 수출해 ICT 업계의 해외시장 진출을 유도할 것”이라며 윤 후보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상이 ICT 업계 현안 해결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의원과 김 특보는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빅테크 기업 등장과 성장으로 발생하고 있는 디지털 인재 부족 현상이 디지털 융합과 비대면 서비스가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되면서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와 윤 후보는 디지털 미래 인재 100만명 양성 공약을 내걸고 있다.
조 의원은 “첨단 신산업 분야 인력 수요는 큰 반면에 공급은 부족하다”면서 “양적·질적 차원의 인력 양성 고도화가 차기 정부의 숙제”라고 설명했다. 김 특보는 “전 산업에 걸쳐 디지털 융합이 일어나면서 인력 수요는 폭발하고 있다”면서 “디지털 인재 육성과 함께 기초적인 디지털 소양교육도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