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업계가 주거 복지 제도를 운영해 직원 근로 의욕 증진과 이직률 줄이기에 나섰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임직원의 안정적인 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대출이자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는 주택담보, 전세자금 등의 대출 이자 중 1.5%를 지원하는데, 지난해 대출금 한도를 1억원에서 2억원으로 향상했다. 신용대출 한도는 최대 2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올렸다. 카카오는 지난해 기존 7000만원이었던 주택자금 대출 한도를 1억5000만원으로 2배 이상 늘렸다. 주택 구입 및 임차, 생활 안정을 위한 대출 이자의 2%만 내면 나머지는 회사에서 부담한다.
쿠팡은 주택자금(최대 4000만원)과 생활안정자금(최대 500만원)을 목적으로 하는 대출 이자를 연 2%까지 지원한다.
모바일 출입카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슈프리마는 직원 주거 안정을 위해 주택자금 대출금을 최대 5억원까지 무이자로 지원하는 '무이자주택자금 지원 제도'를 운영한다. 지난해부터는 회사 인근 지역으로 이사 시 일시금 100만원과 월 지원금 30만원을 2년간 지급하며 원하는 직원에게는 1인 1실 기숙사를 제공한다.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집토스는 구성원 복비 포인트 지원과 맞춤 상담 제도를 마련했다. 복비 포인트는 구성원당 매년 100만원이 지급되며 집토스 직영 부동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가족 또는 지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 범위가 넓어졌다. 맞춤 상담 제도는 주거 목적과 예산, 선호지역 등 라이프스타일을 토대로 적합한 지역과 예산 조달 방식, 매물을 추천하는 서비스다.
플랫폼 업계가 주거 지원에 나서는 이유는 인재 확보 복지 정책 일환으로 주거안정을 보장해 직원 이직을 줄이기 위함이다. 최근 코로나19가 지속되며 정보기술(IT)업계 종사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 이직이 활성화됐다. 사람인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이직을 시도한 직장인은 전체 응답자의 52.6%에 달했다. 올 초 조사에서는 기업 10곳 중 4곳에서 한 사람이 퇴직하면 구성원이 줄줄이 퇴사하는 '이직 전염 현상'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업계는 회사 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임직원 생활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했다. 급격히 증가한 주택비용으로 주거환경이 불안해진다는 점을 겨냥했다.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자가 보유율은 2019년 61.2%에서 2020년 60.6%로 감소했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은 전국 5.5배로 전년 동기(5.4배) 상승했으며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중(RIR)도 16.1%에서 16.6%로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직원의 회사 밖 삶까지도 책임지는 복지를 시행 중”이라며 “무엇보다 증가한 주택비용 탓에 주거 안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 관련 복지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지혜기자 jh@etnews.com
-
손지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