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 “자원순환에 디지털 입힌다”…친환경 산업 주목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5월 출범할 윤석열 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앞세워 자원순환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인공지능(AI)으로 재활용품 회수율을 극대화하겠다”며 쓰레기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처리방식도 개선해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겠다고 공약했다.

환경업계는 윤 당선인이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선언한 만큼 AI·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을 접목한 친환경 사업이 차기 정부의 주요 '탄소중립' 정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은 청년창업 스타트업 등 민간기업과 협업해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운용할 독자적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에 투자하는 기업을 상대로 세제 지원을 확대하고 미래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등 중소·중견기업이 필요로 하는 '수요자 맞춤형 디지털 전환'을 추진한다.

특히 '자원순환'과 관련해서는 AI 기술을 활용해 재활용품을 수거하고 보상액을 조정하는 등 폐기물은 줄이고 회수율은 높여갈 방침이다. 쓰레기 처리 방식도 매립·소각 중심에서 열분해 중심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재생자재 사용을 촉진하고 플라스틱·일회용품·포장재 사용을 축소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신축 건물에 분쇄기 '디스포저'를 설치해 음식물쓰레기 배출·수거를 간편화한다. 과거 재활용 불가했던 쓰레기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건물 하부에는 파쇄물 수거용기를 설치해 바이오가스 생산에 활용한다. 부착상표, 뚜껑 등 분리배출 불편함을 해소하고 폐플라스틱 열분해로 제품제조 원료나 연료로 사용해 순환경제를 달성한다.

업계는 'AI 순환자원 회수로봇'이 활성화되면 국민 개개인이 쓰레기를 거래해 금전적 이익을 얻고 거래된 쓰레기가 새로운 자원으로 재탄생되는 순환경제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지 센싱 기술로 AI가 스스로 순환자원 여부를 판별하고 순환자원 이미지로 폐기물 빅데이터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IoT 원격제어 기술로 기계 조정·상태를 확인, 로봇당 캔과 페트병을 1500개 정도를 회수할 수 있다. 회수로봇에 탑재된 AI 비전이 이미지를 읽어 자원 외형을 학습하고 축적된 학습 데이터에 따라 자원 종류를 판단한다. 형태나 바코드 등이 훼손돼도 정확한 감별이 가능하다. 새롭게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끊임없는 학습, 소위 '딥러닝'이 이뤄져 시간이 지날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김정빈 수퍼빈 대표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는 반드시 업사이클 되도록 수거 체계가 변화돼야 하고 그 부가가치를 재활용 참여자에게 돌려줘 지속 가능한 순환 사이클을 만들어가야 한다”면서 “AI 비전 빅데이터 기술로 쓰레기가 돈이 되고 이렇게 참여하는 활동이 새로운 문화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