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대화방식으로 민원인 서식을 자동 작성해 주거나 신분증 없이 스마트폰으로 신분 증명이 가능한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도입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5차 경기도 정보화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 디지털 기반 경기도 행정체계를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지능정보 사회를 선도하는 디지털 경기!'를 비전으로 사업비 1225억원을 투입해 △지능형 행정 혁신을 위한 선제적 디지털 기반 마련 △혁신주도 성장을 위한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도민 중심 디지털 서비스 제공 등 3대 추진전략과 10대 전략과제, 39개 이행과제를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대민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민원징후 선제 대응 예측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민원징후 대응 예측 모니터링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 민원인 성별·나이 등 인적 정보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해 도민 개개인 상황별 필요한 행정서비스와 행정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한다.
또 '인공지능 기반 민원서식 작성 서비스'를 추진해 민원서식 발급 시 인공지능을 활용, 대화방식으로 민원인이 필요로 하는 서식을 자동 작성하는 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개별 행정 시스템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한곳에서 체계적으로 수집-저장-가공-활용할 수 있도록 '경기도 데이터 댐'을 구축하고, 여러 개 실물 신분증을 관리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반으로 신분 증명을 할 수 있는 '디지털 경기 지갑 앱'도 만든다.
도민 유휴 물품이나 재능 등을 공유하고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경기도 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31개 시·군에 구축된 통합관제센터 폐쇄회로(CC)TV를 단계적으로 통합해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아울러 스마트 산업단지와 혁신데이터센터를 조성해 공정 효율을 높이고 경기도 주요 관광지를 메타버스로 체험하는 체감형 관광 플랫폼과 비대면 문화예술 전시 관람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 그린 산단 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를 추진해 폐쇄회로(CC)TV, 센서 등을 기반으로 가스유출, 불꽃 등을 관찰해 대형 사고를 예방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도는 정책 시행을 위해 현행 정보화 전담 조직을 '과' 단위에서 '국' 단위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류인권 도 기획조정실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이미 디지털 전환 시대로 들어섰다”며 “5차 기본계획을 통해 도정서비스 디지털 전환을 통한 행정서비스 역량을 향상하고 지능정보 생태계 성장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경기=김동성기자 estar@etnews.com
도, 1225억원 투입해 3대 추진전략·39개 이행과제 추진
-
김동성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