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금융권 '낙하산 인사' 관행 깨자

[사설]금융권 '낙하산 인사' 관행 깨자

새 정부 출범 후 금융부처와 국책은행 인선에도 관심이 쏠린다. 통상 정권이 바뀌면 금융권도 대거 수장이 물갈이되는 사태를 겪는다. 그 가운데 핵심 부처인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국책은행 인선이다. 금융부처와 금융권은 친정부의 '제 식구 앉히기' 낙하산 인사가 만연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함께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서민경제 불황이야말로 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1순위다. 경제 수장의 역할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지원, 1800조원 넘는 가계부채 관리 등 할 일이 산더미다.

경제 수장 교체가 현실화할 경우 업무 연속성은 고사하고 조직 효율화는 후퇴하게 된다. 현 수장에 대한 평가도 나쁘지 않다. 현재 금융 수장에게 힘을 실어서 호흡을 맞추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새 정부는 관치금융의 오명도 없애야 한다. 당장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 교체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다. 이미 내부에서는 두 수장 교체에 대해 공백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수장 교체에 따른 업무 연속성 단절과 그간 추진했던 가계부채대책의 원점회귀에 대한 우려다.

여기에 두 수장 모두 재무부와 금융위에서 근무한 정통 경제 관료 출신이다. 자기 사람 심는 회전문 낙하산 인사론이 반복된다면 한국 경제는 또다시 역행이냐 순행이냐의 기로에 서게 된다.

국책은행도 마찬가지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장 교체 가능성이 조심스레 제기된다. 그간의 업무 능력과는 상관없이 정권교체의 희생양으로 삼아선 안 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2017년 7월과 9월에 각각 임종룡 금융위원장, 진웅섭 금감원장이 물러난 바 있다. 도돌이표 회전문 낙하산 인사체계는 이번에 근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