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대선 직전에 실시한 '새정부에 바란다-기업의견 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 촉진 등 기존 산업 고도화'가 새 정부가 취해야 할 산업 정책 방향 일순위로 꼽혔다.새 정부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챙겨야 할 필수 과제라는 의미다. 디지털 전환의 기반은 소프트웨어(SW) 기술이다. 클라우드·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SW 기반 기술 중심으로 제품과 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등을 혁신하는 게 핵심이다.
문제는 기업에서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상당수 SW 기술 확보에 미흡, 디지털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W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0.4%가 SW 기술 확보 수준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SW 역량을 SW 전문기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 SW 기업 역량 수준이 디지털 전환 속도를 결정하는 셈이다. 디지털 전환을 위해 국내 SW산업의 선진화가 선행돼야 하는 까닭이다.
그러나 SW산업은 인력 부족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태다. 앞으로 5년간 SW 분야 신규 인력 수요는 35만명으로, 약 5만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 곳곳에 SW 활용이 늘어날수록 SW 인력 부족 현상도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네카라쿠배당토직야' 등 플랫폼 기업의 인력 싹쓸이로 인한 중소 SW기업의 구직난이 심각하다. SW 관련 직종의 인력 수급 불일치 현상을 해소하려면 정부와 기업의 대처가 필요하다.
초·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보편적 SW 교육 확대를 통한 초급 인력 확보가 최우선 과제다. 초·중·고교 교육 시수를 늘리고, 정보교사를 확충해야 한다. 특성화고를 정보고로 재편하는 것도 방법이다. 중·고급 인력도 길러 내야 한다. 대학의 학과 정원 확대 등을 통해 가능한 일이다. SW 관련학과 정원을 늘리고 디지털 중심으로의 학과 개편도 필요하다. 산·학 협력을 통한 교육 과정도 개발돼야 한다.
기업이 필요한 인재를 직접 교육하고 이를 채용과 인턴십 등 일자리로 연계하는 민·관 협력형 인재 양성 모델도 생각해 봄직하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진행하는 회원사와의 SW '채용확정형' 교육 프로그램이 좋은 대안이다. 채용확정형 교육은 참여기업과 훈련기관이 공동으로 기업 맞춤형 커리큘럼 개발, 교육생 선발, 실무교육을 실시해서 교육 수료 후 50% 이상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프로그램이다. 협회는 지난해 채용확정형 교육에서 수료율 96%, 취업률 83%의 성과를 거뒀다.
국내 SW기업도 99% 이상이 중소기업으로, SW산업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한다. 중소 SW기업의 고용 안정이 디지털 전환의 첫걸음이다. 새 정부의 투자와 지원이 절실하다.
권혜미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