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교육용 콘텐츠 관리 제각각…정부, 메타데이터 만든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부와 공공기관이 제작한 교육용 콘텐츠가 분류체계도 갖추지 않고 저작권 침해 우려도 있어 플랫폼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을 통해 교육용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나섰다.

새 정부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추진한다고 해도 플랫폼에 올릴 콘텐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플랫폼은 부실해질 수 밖에 없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이 개발한 교육용 콘텐츠가 10만여건에 달하지만 초중등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에는 절반도 올라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영식 전주교대 교수를 연구책임자로, KERIS는 교육용 콘텐츠 제작과 관리를 위한 3종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과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저작권 관리 가이드라인 등이다. 연구팀은 2019년부터 2021년 정부 예산으로 개발한 교육용 콘텐츠를 조사한 결과 23개 부처·기관에서 개발한 10만480여건으로 나타났다. 3년동안 교육용 콘텐츠 개발에 투입된 예산은 1521억원에 달한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이 교육플랫폼과 연계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특정서비스 전용으로 개발됐거나 저작권 문제가 있는 경우였다. 교육부 관계기관이 아닌 경우에는 플랫폼 연계에 필요한 메타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활성화되면서 KERIS e학습터나 EBS온라인클래스 등 학습관리시스템(LMS)과 함께 저작권 걱정없이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잇다'에 대한 활용도가 급증했다.

교육용 콘텐츠를 보다 많은 교사와 학생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중적인 플랫폼에 연계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분류를 위한 속성 정보인 메타데이터 기준을 따라야 플랫폼 연계가 수월해 진다. 특히 공공을 넘어 민간 에듀테크나 콘텐츠까지 포괄할 디지털교수학습플랫폼(K-에듀통합플랫폼) 개발까지 추진하는 상황이다. 플랫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메타데이터나 저작권 등을 우선적으로 갖춰야 한다.

교육부는 공공·민간을 아우르는 통합플랫폼 개발과 함께 기존·신규 콘텐츠의 플랫폼 연계를 위한 체계화 작업을 추진한다. 교육 관계 기관 등 일부가 따르던 메타데이터는 항목이 너무 많아 제대로 활용되지 않았다. 정부는 메타데이터 규모를 최대한 슬림화하고 대신 훈령 등의 규정을 통해 메타데이터로 강제성을 부여하는 방안까지도 검토 중이다.

가이드라인 개발을 총괄한 정영식 전주교대 교수는 “콘텐츠를 개발할 때 메타데이터도 함께 붙여줘야 하기 때문에 콘텐츠 개발 단계에서부터 기준을 따르도록 독려해야 한다”면서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돼도 또 그에 따라 메타데이터를 일일이 바꾸는 일이 없도록 연관분류코드만 추가하는 등의 방안을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