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자] 윤진환 부산대 대학원 화학소재학과 교수

윤진환 부산대대학원 화학소재과 교수
윤진환 부산대대학원 화학소재과 교수

윤진환 부산대 교수는 '고탄성 이온젤' 개발로 주목받고 있는 고분자 연성재료 분야 전문가다.

'이온젤'은 전기장을 가하면 빛을 내는 유연 전계발광 소자다. 윤 교수가 개발한 '고탄성 이온젤'은 구부리는 정도의 유연성을 넘어 돌돌 말거나 길게 잡아당겨도 빛을 내는 새로운 소자다.

윤 교수는 “기존 이온젤을 지우개라 한다면 새로 개발한 고탄성 이온젤은 고무줄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유연 이온젤은 쉽게 갈라지고 전기전도도도 낮다. 고탄성 이온젤은 자유롭게 형태를 바꾸거나 원형의 12배까지 늘려도 빛을 냈다. 섭씨 0도에서 200도까지 넓은 구간에서도 잘 작동한다.

윤 교수는 “먼저 소재 구조에 집중했다. 유연 고분자와 질긴 고분자를 각각 그물구조로 만들어 교차시켜 탄탄한 젤 소재를 만들고, 여기에 전류가 잘 흐르는 이온성 액체를 첨가해 강도와 유연성, 전기전도성을 모두 높였다”고 설명했다.

'고탄성 이온젤'은 쉽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만능 센서나 만능 배터리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지난해에는 진성호 부산대 교수, 한국재료연구원과 삼원소 유기 태양전지 광전환 효율과 수명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물질도 개발했다.

삼원소 유기 태양전지는 전자를 주고받는 물질이 3개로 구성된 전지로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게 기존 유기 태양전지에 새로운 고분자 합성 물질을 추가해 만든다.

새로운 고분자 물질을 사용해 만든 삼원소 유기 태양전지는 광전효율 17.4%로 세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생산 단가도 저렴해 양산도 수월하다.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각종 유기물 기반 전자소자의 효율과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윤 교수는 즐겁게 연구하면 성과도 자연스레 이어진다고 말했다. 사진은 윤 교수 연구실.
윤 교수는 즐겁게 연구하면 성과도 자연스레 이어진다고 말했다. 사진은 윤 교수 연구실.

“어떤 분야 연구든 즐겨야 오래 할 수 있고 성과도 나온다.” 윤 교수의 연구 철학이다.

그는 “화학소재는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매력적인 연구 분야라 생각해 전공으로 택했다. 지금도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에 파고들고 즐겁게 연구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성과도 나오는 것 같다”며 “하고 싶은 연구를 즐기며 하는 연구문화가 확산하면 자연스레 세계적 연구 성과도 나올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이어 윤 교수는 “연구 과제나 지원 예산 등 우리나라 연구 환경이 전반적으로 좋아졌다. 그래서인지 개별 연구자나 대학, 연구기관의 연구 수준도 매우 높다”며 “이제는 개선된 연구지원 인프라를 어떻게 잘 활용해 선진 연구성과를 낼 것인가가 연구자에게 주어진 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포항공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를 받았다. 미국 메사추세츠주립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고 동아대 화학과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지난 2018년부터 부산대 화학교육과와 부산대 대학원 화학소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