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경영실적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대외 불확실성을 대비하기 위해 현금을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코로나19 이전(2018~2019년)과 이후(2020~2021년)로 시기를 나눠 국내 매출 100대 기업 실적을 비교한 결과 이후 2년간 매출액과 영입이익 누계가 1666조5000억원, 130조원을 기록해 직전 2년 대비 각각 5.8%, 5.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요 증가로 호황을 누렸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을 제외하더라도 나머지 98개사 매출액(1228조4000억원)은 코로나 이전 대비 3.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0조8000억원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43.4% 늘었다.
100대 기업 투자 규모는 149조2000원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8.6% 증가했지만 투자액 합계가 63조9000억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11.4% 줄었다. 전경련은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충격에도 우리 기업이 양호한 실적을 거뒀으나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투자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은 코로나19로 확대된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호실적에도 빚을 늘려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금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100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은 총 244조6000억원이었다. 투자(189조1000억원)와 배당·이자(59조5000억원)로 지출한 현금 248조600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100대 기업의 총차입금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23조7000억원(9.7%) 증가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기업이 코로나19 이후 벌어들인 수익을 투자와 배당에 지출한 뒤 남은 현금이 충분치 못하자 차입을 늘린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100대 기업 현금성 자산은 총 104조1000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대비 16.6%(14조8000억원) 늘었다. 100대 기업 총차입금에서 현금성 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도 지속 증가해 지난해 말 164조8000억원까지 늘어나면서 최근 5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통화 긴축 등 기업이 당면한 대외적 불확실성이 지난해보다 더욱 확대된 상황”이라면서 “기업이 불확실성을 잘 헤쳐나가 투자·고용을 확대할 수 있도록 선제적 세제지원·규제개혁으로 기업 경영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