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2205/1530265_20220510145003_329_0001.jpg)
올해 1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이 수입 제품 증가로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제조업 제품 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 동향'에 ㄸㆍ르면 1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7.4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내수 동향을 나타낸다. 이 지수는 작년 1분기(3.4%), 2분기(9.1%), 3분기(1.9%), 4분기(3.6%)에 이어 5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올해 1분기에는 국산은 1.4% 감소했으나 수입이 9.2% 증가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1분기 국내 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2.3%포인트(P) 늘었다. 이는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다.
업종별로는 의약품이 전년 대비 20.0% 증가했다. 코로나19 백신과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산(16.5%)과 수입(26.7%)이 모두 크게 늘었다.
전자제품(13.0%), 전기장비(7.4%) 등도 증가했다. 전자제품은 반도체 수입 증가 영향이, 전기장비는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가 늘어난 결과다.
반면 글로벌 공급난 여파로 자동차(-2.6%)와 금속가공(-9.2%)은 감소했다.
재화별로 보면 최종재 공급이 0.6% 감소했다. 개인이나 가계가 구매하는 소비재는 2.9% 증가했으나 생산 관련 활동에 사용되는 자본재는 5.8% 감소했다. 소비재에서는 의약품, 상업 인쇄는 늘어난 반면 자본재에서는 웨이퍼 가공장비, 컨테이너선 등이 줄었다.
중간재는 시스템 반도체와 D램 공급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3.1% 늘었다.
최종재에서 수입이 찾히ㅏ는 비중은 33.9%로 전년 대비 1.2%P 높아졌다.
업종별로는 인쇄 및 기록매체에서 수입 비중이 24.2%P 높아진 30.5%를 기록했다. 기타 운송장비는 26.1%로 9.7%P 높아졌다. 반면 의료정밀과학 수입 비중은 49.8%로 1.3%P 하락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