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북도, 경남도, 제주도, 세종시가 정부가 지원하는 첫 민간 클라우드 활용 사업을 추진한다. 전남도를 비롯한 6개 광역자치단체는 민간이 제공하는 공공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에 지자체 시스템을 다양한 형태로 이전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 모델' 시범사업에 전남도, 전북도, 경남도, 제주시, 세종시가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전남도는 정보시스템 규모를 감안해 광주시와 사업계획서를 작성, 제출했다.
광역자치단체는 사업 추진체계와 기관별 역할, 클라우드 전환 일정(2022년 말까지 정보시스템 100개 이상), 활용 모델 구축 방안, 활용 모델 적용 이후 확대·발전 방안, 지역 정보기술(IT) 기업과 상생 방안 등을 사업계획서에 담았다.
행안부는 사업계획서를 평가, 지원할 광역자치단체를 선정하고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사업을 정식 발주한다. 올해에는 클라우드 전환 비용과 1년 이용료 등 약 700억원을 지원한다. 가능하면 많은 기관을 지원하는 게 행안부 목표인 만큼, 6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전남도와 경남도는 각각 NHN과의 협력 중심으로 사업계획을 제출했다. NHN은 순천과 김해에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도, 제주도, 세종시 등 3개 지자체와 협력하는 CSP는 파악되지 않았다. 복수 CSP를 제안하고 사업계획서 통과 이후 CSP를 결정하는 방식을 택했을 가능성이 짙다.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전북도는 삼성SDS, 제주도는 KT와 각각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세종시는 네이버클라우드와의 협력 가능성이 점쳐진다.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 모델은 민간이 공공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고, 공공은 이용료를 지불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민간 클라우드를 공공에 다양한 형태로 확산하고, 내부 업무까지 클라우드 이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공공은 자체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대비 비용을 절감하고, 부족한 공공 클라우드 전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내부에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를 구축·운영 중이다. 캘리포니아주는 IBM, AT&T와 공동으로 '캘클라우드(CalCloud)'를 구축, 주 내 167개 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국 정보기관인 MI5, MI6, GCHQ는 지난해 10월 AWS와 10년간 5000만~10억파운드(약 870억원~1조 6130억원) 규모 클라우드 활용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행안부는 지난달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통합 및 클라우드 이용정책 설명회'를 개최,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사업을 설명했다. 민간위탁형과 민간주도형, 민간구축형 등 사업 방식을 결정하고 토지와 건물, 설비, 인프라, 서비스 운용과 이용방식, 보안방식, 관제방식, 이용료 지불 등 광역자치단체와 CSP(Cloud Service Provider)간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표〉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시범사업 주요 내용 및 일정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