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대학포럼]〈73〉미래 일자리 변화와 필요한 역량

나치수 동신대학교 초빙교수·전 한국과학창의재단 감사
나치수 동신대학교 초빙교수·전 한국과학창의재단 감사

거대 기술이 범람하는 테크놀로지 빅뱅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기술 혁명이 야기할 다양한 변화 가운데 지능화는 인류에게 거대한 기회와 위협을 동시에 안길 수 있다. 지능화로 편의성과 생산성의 획기적 증대, 신산업 창출이 가능하겠지만 동시에 사회·산업의 근본적 재편과 스마트 기계의 인간 대체라는 전례 없는 위협이 나타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로봇·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한 기술 융합이 핵심으로, 산업구조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새로운 물결임이 틀림없다. 해외 미래학자와 관련 전망 보고서는 미래 사회 변화가 크게 기술·산업구조, 고용구조, 직무역량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에릭 브리뇰프슨과 앤드루 맥아피 교수는 '2차 기계 시대' 도래를 선언하기도 했다. 20세기에 대량생산 기계가 단순 육체노동을 대체한 것이 '1차 기계 시대'라면 21세기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복잡한 육체노동, 나아가 지식노동마저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보통신기술(ICT), 나노, 바이오, 뇌과학 등 다양한 첨단기술이 융합돼 인간의 육체적·지적 능력이 진화하면서 기계가 인간의 영역을 대체하는 현상 또한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발달로 고도의 전문적 지식과 스킬이 요구되는 전문 직종에서도 변화가 일고 있다. 사무직과 관리직 등 화이트칼라 계층뿐만 아니라 인간이 독점하리라 생각한 금융업과 법률·의료·언론 분야까지 인공지능이 활용되고 있다.

대학은 오랜 기간 학문 공동체로 발전했지만 근본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최근 대학이 사라진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는 “2030년에 대학 절반이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간이 기계에 직업을 빼앗길 뿐만 아니라 대학마저 불필요한 시대가 열린다는 예상이다. 대학이 필요 없는 시대가 열린다면 미래에는 지금까지 대학에서 배워 온 지식이 아닌 무엇이 필요할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계와 일자리를 두고 경쟁해야 하는 시대에는 기계와 차별화된 인간만의 고유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 진보로 일자리 변화 핵심은 기계 역할 변화가 아니라 인간 역할 변화라 할 수 있다. 기계와 차별화되는 인간다움은 결국 복합적 문제를 정의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서 나올 수 있다. 따라서 학생에게 필요한 미래 역량은 '획일적이지 않은 문제 인식' '다양성을 조합한 대안의 탐색과 도출' '기계 활용과 공생을 추구하는 협력적 소통' 등이다.

기존 산업화 시대 교육으로는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생존하기란 불가능하다. 과거 노동집약적 시대의 획일화되고 규격화된 인재는 인공지능으로 충분히 대체될 수 있다. 앨빈 토플러가 한국을 방문한 후 남긴 경고를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아이들은 하루 15시간씩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코딩, 디자인, 보고서 작성 등 인지 영역이 기계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를 잘 활용해 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기계와 차별화하면서도 기계를 활용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가 미래 일자리 승자가 될 수 있다.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 개발과 활성화가 시급하다. 미래에는 전통적 오프라인 교육과 개방형 온라인 교육이 결합한 융합 교육이 될 것이다.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융합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나치수 동신대 초빙교수·전 한국과학창의재단 감사 csnha201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