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공무원증과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이 활성화되려면 기존 플라스틱 카드를 과감하게 없애야 합니다. ESG 경영과 탄소중립 등을 지키는 상징적 의미로 플라스틱 카드를 없애는 방법을 국가가 과감히 고려해봤으면 합니다.”
윤창득 LG CNS 블록체인사업단장은 21일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한국IT리더스포럼 6월 정기조찬회에서 디지털 신원인증 미래를 말하며, 이같이 역설했다.
윤 단장은 DID 기반 신원인증이 활성화되면 국내외 보다 많은 서비스 연계로 편리한 생활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했다. 의사, 경찰, 교사 등 자격증명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익명성을 유지하며 필요할 경우에 DID 기반 자체 증명가능한 증명서를 제시하고 검증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해외 연계도 가능하다는 게 윤 단장 판단이다. 그는 “해외에서 차를 렌트하려면 현재는 국제면허증을 발급받아야 하지만, DID가 활성화되면 별도 시스템이 아닌 블록체인상 노드 하나만 연결하면 쉽게 신분 검증이 가능하다”며 “국내 운전면허증으로 해외에서 렌트할 수 있는 세상이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증명(DID)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다. 개인정보 집중 우려와 개인정보 탈취 공격 위협이 높아지면서 DID로 진화됐다. DID 차별점은 개인 정보인 인증서가 개인 단말기에 보관되며 발행기관은 발행 이후 검증 트랜잭션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개인은 서비스를 위해 검증 요청 때 검증에 필요한 항목만 선별 제시한다.
LG CNS는 2020년 행정안전부와 인사처를 대상으로 국가 모바일 공무원증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윤 단장은 “플라스틱 카드로 출입기록을 찍으면 기록이 서버에 남게 되고, 공무원 개인 활동을 국가가 감시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모바일 공무원증을 도입하면서 기록이 서버가 아닌 개인 휴대폰에 남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모바일 공무원증을 활성화 시키려면 플라스틱 공무원증 카드를 과감히 버려야 모바일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보다 많은 사람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LG CNS는 2021~2022년 경찰청·도로교통공단과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도입했다. 국가에서 발급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하게 활용되고, 은행 등 민간영역에서도 본인 확인 수단으로 이용됐다.
2023년부터 모바일 주민등록증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 단장은 “정부가 신분증 디지털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기 때문에 내년부터 모바일 주민등록증 도입이 가능할 것 같다”며 “여권 역시 DID 기반으로 발급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이 가능하다. 플라스틱 주민증이나 종이 여권 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디지털 생태계를 활성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