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무너진 원자력 발전 생태계를 복원하고 차세대 원전 연구개발(R&D) 등에 총 5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내세운 '원전 최강국' 도약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대책 및 원전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대책은 △원전 협력업체에 올해 925억원 규모 긴급 일감 발주 △오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 원전 일감 신규 발주 △맞춤형 수주 전략으로 일감 연속성 강화 △올해 3800억원 규모 금융애로 해소 지원 △원자력 R&D에 올해 6700억원·2025년까지 3조원 이상 투자 등이 골자다. 총 투입 금액은 5조원을 상회한다.
대책은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해 온 '원전 최강국' 도약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 여파로 중단됐던 신한울 3, 4호기 건설을 재개한다. 이를 위한 설계와 원전 예비품 등에 일감을 긴급 공급한다. 전력수급기본계획 반영 등 절차를 거쳐 발주를 조속히 추진한다. 오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 일감을 추가 공급한다.
맞춤형 수출 전략도 세운다. 범부처와 관계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컨트롤타워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을 오는 7월 발족한다. 수출에 필요한 글로벌 인증 지원 기업수를 연간 65개사에서 100개사로 확대하고, 평균 지원비를 6000만원에서 7800만원까지 상향한다. 또 해외 벤더 등록 지원 기업수를 연간 35개사에서 65개사까지 늘린다.
정부는 금융애로 해소에도 나선다. 원전 중소기업에 긴급 자금을 공급하고, 시중은행과 협력해 부실 발생기업도 지원한다. 우선 중소 원전업체에 대해 정책자금 500억원을 공급하고, 특례보증 500억원을 신설하는 등 총 1000억원 규모 긴급 자금을 마련한다. 또 부실이 발생한 기업의 재기를 위해 중진공과 은행 간 협력 프로그램으로 경영정상화를 지원한다.
상생협력 기반 기술혁신도 추진한다. 원전 중소기업 특화 R&D를 신설하고 한수원과 협력해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돕는다.
원전 기술 역량도 제고한다. 올해 12월까지 원전 밸류체인을 심층 분석하고 핵심 기자재 국산화를 추진한다. 원자력 수소, 원전해체, 방사능폐기물 관리 등 차세대 기술과 원전 안전성 향상 투자를 강화한다. 또 국내 독자 모델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및 상용화에 오는 2028년까지 3992억원을 투자한다. 해외 수요 연계형 R&D에 집중하는 한편 원자력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핵심 품목을 집중 관리한다.
전문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원전 R&D에 대학 참여를 확대한다. 오는 2023년에는 고준위 방사능폐기물 융합대학원을 신설한다. 이 분야 석·박사를 매년 20명 규모 배출할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이창양 산업부 장관, 이영 중기부 장관 등과 함께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공장을 찾아 “지난 5년간 원전 생태계를 더욱 탄탄히 구축했다면 지금쯤 경쟁자가 없었을 것”이라면서 “원전 생태계 거점인 창원 산업 현장, 공장이 활기를 되찾고 신나게 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은 “일감 지원을 위해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시 협력사에 제작 물량을 조기 발주할 것”이라면서 “선금 지급 등으로 사업 정상화를 돕고 5년 이상 장기공급계약제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태웅기자 bigheroryu@etnews.com
, 권건호 기자 공동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