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는 국제사회와 약속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을 녹색경제 전환을 통해 이행할 방침이다. 지속가능개발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따라 '2050 탄소중립'이라는 도전적 목표를 오히려 녹색 신산업 육성 기회로 활용,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생태계'를 조성하고 대한민국 녹색경제 전환을 가속화한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 이사회와 유럽의회가 그린워싱 방지를 위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 요건을 강화한 '기업 지속 가능성 보고지침(CSRD)' 최종안에 합의했다. 표결을 통해 CSRD가 공식 확정되면 2024년부터 기존 '비재무보고지침(NFRD)'을 대체하게 된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발표한 기후변화 공시 의무화 초안에 따르면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량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협력업체가 포함됐거나 협력업체 배출량이 큰 경우 공급망 전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를 포함해야 한다. 연내 국제회계기준(IFRS)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이 확정되면 수출의존도가 큰 한국 기업에 ESG 역량은 더 중요해질 전망이다.
조빛나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장은 “CSRD에 따라 250명 이상, 매출액 4000만유로 이상 기업은 상장여부와 무관하게 ESG 관련 위험·기회요소, 기업 활동이 환경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공개해야 한다”면서 “CSRD 지침은 향후 자산투자자의 탄소중립경제 전환을 위한 투자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민간기업이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민간 중심 ESG 생태계를 고도화해 환경과 경제발전이 공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 글로벌 ESG 공시 표준화 동향에 맞춰 국내 공시제도를 정비하고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ESG 종합 정보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다.
특히 다음 달 발표를 앞둔 'ESG 인프라 고도화 방안'에는 △ESG 공시제도 정비 △중소·중견기업 ESG 지원 △ESG 채권 발행·투자활성화 △ESG 민간평가기관 가이던스 마련 △ESG 정보플랫폼 구축 △ESG 전문인력 양성 △공공기관 ESG 선도 등 7대 중점과제가 제시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ESG 정보공시가 의견수렴을 거쳐 2024년 이후 제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산업별 ESG 정보공시' 'ESG 공급망 실사 법제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동수 김앤장 ESG경영연구소장은 “최근 공개된 ISSB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역시 77개 산업별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SASB 기준을 채택하며 산업별 기준에 따른 ESG 정보공시에 힘을 싣고 있다”면서 “EU 공급망 실사는 CSRD에 기반한 ESG 정보공시 제도로 봐도 무방한 만큼 협력업체 ESG 정보 확인이 필수”라고 말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