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러 전쟁 자금줄 차단 총력…석유가 상한 등 검토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차단하기 위해 에너지 제재를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G7이 27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러시아산 석유 상한가 제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닛케이에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줄이는 것은 타국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억제하는 두가지 목적을 동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러시아산 석유 거래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동안 미국, 유럽 등 서방국가의 대러시아 제재에 따라 원유가격이 상승해 러시아의 에너지 수입이 늘고 다른 국가의 부담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G7 정상들은 앞으로 각국 재무장관 등 관계 관료를 중심으로 G7 이외 국가와 기업을 포함해 관련 제도를 설계할 방침이다. 일정 수준을 넘는 가격으로 거래한 러시아산 석유을 운반하는 유조선에 보험 제공을 금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한다.

<AP=연합>
<AP=연합>

G7은 러시아산 금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도 발동한다. 러시아는 지난해 약 19조원에 달하는 금 수출액을 기록했다. 석유, 가스 등 에너지와 함께 러시아 주요 수출품인 금에 경제 제재를 가한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올해 1~5월 러시아의 석유·가스 수익은 작년 동기 대비 무려 80% 증가한 5조7000억루블(약 137조원)으로 집계됐다. 러시아가 하루 평균 약 5억달러 수입을 에너지 산업에서 벌어들이고, 군사비로 약 3억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달 G7은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가 계속 사들이면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닛케이는 일부 국가가 G7이 설정한 가격대 보다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면 제재 효과가 낮을 것이라고 봤다.

G7은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관해서도 대응 방안을 찾고 있다. 하지만 가스 가격에 상한을 적용하면 러시아산 가스에 의존하는 유럽 각국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