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부 서비스 혁신 '단비' 내렸다

1차연도 사업서 302개 정보시스템 전환
운영비 20%↓·SW 국산화율 47%↑ 성과
2026년까지 1만9개 단계적 전환 목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공개 SW 적용률 및 SW 국산화율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사업(이하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이 1차연도 사업을 마무리하고 2차연도 사업 착수를 앞뒀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은 다양하고 긴급한 행정수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정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민간 클라우드 기술과 서비스를 공공에 도입하는 게 목적이다. 국산 소프트웨어(SW) 사용률 제고, 운영비 절감, 탄소배출 저감 등 기대 효과 또한 다양하다.

행정안전부는 2026년까지 1만9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계획이다. 기존 방식 사업 이외에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촉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안내서 배포 등을 통해 공공 분야 클라우드 도입을 확대할 방침이다.

[기획]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부 서비스 혁신 '단비' 내렸다

◇SW 국산화율 제고 비롯한 기대효과 다양

행정안전부는 2020년 6월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자원 통합기준' 제정을 시작으로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전환 추진계획 마련 등을 거쳐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1차연도 사업에 착수, 올해 상반기까지 302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가장 큰 기대효과는 클라우드를 통한 유연한 정보시스템 환경 확보다. 필요에 따라 정보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수요 대응은 물론, 환경 변화 대응이 용이해지고 관리 편의성도 높아진다.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위한 기본 조건으로 클라우드가 주목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다. 공개 SW와 SW 국산화율을 높여 국내 SW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한다.

1차연도 설계사업 결과에 따르면 공공 클라우드 전환 1차연도 사업을 통해 공개 SW 적용률이 62.8%에서 88.6%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SW 국산화율은 15.5%에서 22.8%로 증가하고, 운영비 절감 효과는 60억원(20%)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에너지 절감 및 탄소배출 저감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1차연도 사업 결과, 물리서버 기준 178만㎾에서 가상서버 기준 6만7000㎾로 171만㎾ 전력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800톤을 감축하는 것으로 나무 약 12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다.

◇성능 강화·편의성 등에 만족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에 대해서 참여 기관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16개 기관이 참여한 1차연도 2차사업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참여 기관은 '성능·품질'에 5.5점(7점 만점)을 매겼다. 클라우드 전환 이후 각종 취약점 조치 등으로 보안강화 측면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능 체감도나 시스템 관리 측면에 대한 반응도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비스 운영과 시스템 장애 대응, 기술지원 측면을 묻는 '이용 편의' 부문은 5.6점을 받았다. 사업자가 이용기관 요구(문의사항)나 기술지원 요청 등에 원활하게 대응하고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기관은 운영관리, 정보자원 활용 용이성 및 비용 효율화 측면을 묻는 '전환 효과'에는 5.0점을 줬다. 운영관리(5.3점), 자원 활용 효율성(5.7점) 대비 비용 절감 체감도가 4.1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클라우드 전환 이후 이용료 확보에 부담을 갖는 기관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정보화사업 낙찰차액을 디지털서비스에 이용 가능해졌기 때문에 이를 안내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이용료 지원 방안을 지속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업 과정 만족도는 5.3점으로 다소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차사업 당시 5.0점보다 0.3점 높아진 수치로 기관의 요구사항 반영, 해결책 제시 등에서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기획]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부 서비스 혁신 '단비' 내렸다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로 전환 가속

행안부는 올해 2차연도 사업을 통해 1590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2026년까지 단계적 추진을 통해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민간이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운영하고 행정·공공기관은 이용료를 지불하는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사업을 시작한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을 투 트랙으로 추진하는 셈으로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올해 시범사업에는 700억원을 지원한다. 행안부는 심사를 통해 경상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전라남도·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등 6개 개관, 5개 사업계획을 선정했다. 8월부터 전환 사업이 시작된다.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은 공공에 다양한 형태로 민간 클라우드를 확산하고 부족한 공공 클라우드 전환 공간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행안부는 공공기관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클라우드를 도입·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방법, 산재한 제도를 통합 안내하는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안내서'를 곧 배포한다.

안내서는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제(CSAP)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도입 시 유의할 점, 서비스 이용계약 및 서비스수준협약(SLA) 체결, 계약 해지 등 폭넓은 내용을 담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의견은 물론 클라우드산업협회와 SW산업협회를 통해 기업 의견도 수렴, 반영했다”며 “공공기관이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참조해야 할 일종의 지침서”라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