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성 폴리염화비닐(PVC) 고분자 겔을 응용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구현, 정전기로부터 얻은 에너지로 위치·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촉각센서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주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이 배진우 한국기술교육대 교수팀과 협력해 투명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 겔 단일층으로 구성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에너지 발전 소자로써 기계적 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극 그리드 패턴(격자 모양 전극 배열 형태) 없이도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촉각센서로도 구현 가능했다.
최근 웨어러블, 스트레처블 전자기기 다양화로 인해 신축성 있는 전자기기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활용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발 또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압력, 진동, 풍력 등의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로 전원 공급 장치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기판, 전극, 유전소재 등 최소 2가지 이상 층으로 이뤄져 있어 두께가 두꺼울 뿐 아니라 유연성이나 투명성에 제한이 있으며 복잡한 제작공정을 이용해왔다.
이에 연구팀은 가소제(플라스틱을 유연하게 만드는 물질)를 포함한 폴리염화비닐 겔을 사용해 투명하면서도 매우 잘 늘어나는 단층 고출력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개발에 성공했다.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에 의한 에너지 발전 효율도 향상됨을 확인했다.
또 촉각센서 위치 감지를 위해 필수적인 전극 그리드 패턴 없이도 접촉 거리에 따라 마찰전기 출력이 변하는 특성을 활용, 접촉한 위치나 압력 등의 감지가 가능한 촉각 센서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개발 소자가 투명하고 잘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미래 유연전자소자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또 구조적으로 간단해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전자스킨, 웨어러블 장치 관련 분야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신진연구, 중견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5월 26일 게재됐고,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