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 전당대회 '룰 수정' 후폭풍… 안규백 전준위원장 '사퇴'

안규백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29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비공개 전준위 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규백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29일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비공개 전준위 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룰을 둘러싸고 파열음이 이어지고 있다. 비상대책위원회가 4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의 결정을 일부 뒤집은 탓이다. 결국 안규백 전준위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안 위원장은 5일 “전준위 논의가 형해화되는 상황에서 더는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가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전준위원장으로서 판단”이라며 “전준위원장직을 내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비대위·당무위에서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준위는 4일 선거인단 구성과 반영 비율 수정과 예비경선 과정에서 국민 투표 비율을 30% 반영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전당대회 룰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비대위는 전준위 결정을 일부 뒤집었다. 비대위안은 최고위원에 대한 1인 2표 투표 중 한 표는 자신의 권역 내 출마한 후보 중 한 명에게 행사하도록 정했다. 또 예비경선 역시 전준위 의결과 달리 '중앙위원회 100%'인 현행안을 의결했다.

안 위원장은 비대위의 결정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안 위원장은 “당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최대한 국민의 의견을 듣고자 당대표 및 최고위원 경선에 국민 여론조사의 반영비율을 신설·확대(예비경선 30% 신설, 본경선 10→25% 확대)했다”면서 “그러나 비대위는 대표적인 개혁안 중 하나로 예비경선 선거인단 구성에 국민 의견을 반영한 안을 폐기했다”고 비판했다.

또 “그 과정에서 전준위와 사전교감은 전혀 없었다. 최고위원 선거에서 비대위가 도입한 권역별 투표제 역시 유례없는 제도였다”며 “권역별 투표제는 대의원·권리당원의 투표권을 직접 제한하는 것으로서 투표권 제한의 강도가 가장 높고 거친 방식이다. 최고위원회의 구성에 지역 대표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최고위원 선거에서 1인 3표를 부여함으로써 선택의 폭을 넓히거나 지명직 최고위원 구성에 지역 대표성을 고려하도록 하는 등 다른 여러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위는 가장 직접적이고 거친 방안을 선택했다”고 반발했다.

이어 “비대위의 안은 원래의 의도대로 지역 대표성을 보완하기보다 수도권과 호남 지역의 대표성을 강화하는 안으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우려가 있다. 해당 안건에 관해서도 전준위에서 일부 제안이 있었지만 여러 우려로 인해 전준위 차원에서 논의하지 않기로 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최기창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