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가 물가급등으로 확장실업률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1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민고통지수 상승은 민간소비위축 등 국내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경제원은 5일 '국민고통지수 상승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분석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2015년 1분기부터 2022년 1분기까지 분기별 국민고통지수를 산출했다. 국민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해 구한다. 한경연은 실업자에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를 더한 수를 실업자로 보는 '확장실업률'을 국민고통지수 산출에 필요한 실업률 통계로 이용했다.
산출결과, 국민고통지수는 분기별로 등락해 2020년까지는 10 아래에 머물렀다.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 등으로 확장실업률이 정점을 찍은 2021년 1분기에는 10.5로 치솟았다. 이후 2021년 3분기에는 확장실업률이 6.6%로 낮아짐에 따라 9.1로 떨어졌으나, 4분기부터는 국제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에 따른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9.8까지 높아졌다. 올해 1분기에는 10.6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이 지속된다면, 기업의 원가부담 흡수여력이 약해져 소비자물가도 생산자물가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아직은 생산자물가에 비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태다.
한경연은 산출한 국민고통지수에 기반해 국민고통지수증가율 상승이 가계 구매여력을 위축시켜 민간소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가늠해 보았다. 그 결과 전년동기 대비 국민고통지수 증가율이 1%p 높아지면 민간소비증가율은 0.13%p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고통지수가 높아질 경우 소비위축 등 경제악영향으로 실업이 증가해 국민고통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며 “기업 활력제고를 통한 경제 총공급능력 확충으로 물가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다은기자 dandan@etnews.com
-
정다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