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첫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 개최…신산업통상전략 추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가 새 정부 출범 후 첫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위원회는서 민간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경쟁력과 공급망 강화를 위한 신산업통상전략을 추진한다.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 대한 대응 전략도 함께 모색했다.

산업부는 7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제15차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민간 자문위원에게 새 정부 통상전략에 대한 의견을 구했다.

위원회는 약 30명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법정 자문기구다. 기업과 소통을 주목적으로 하는 '통상산업포럼'과 함께 통상 분야 대표 민관 협업 채널로 기능한다.

이번 위원회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 열렸다. 새 정부의 통상정책 방향, IPEF 추진현황·계획 등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성을 논의했다. 아울러 자문위원 제안으로 지난달 민간자문위원회 내에 구성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분과위 논의 내용을 보고받았다.

산업부는 우리 산업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와 디지털·그린 혁신을 뒷받침하고 새로 형성되는 아태 통상질서를 주도하는 통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윤석열 정부는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을 강화하는 신산업통상전략'을 국정과제로 채택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간위원과 함께 변화된 통상환경에 맞는 통상정책 방향에 대해 국정과제에 기반해 논의했다.

산업부는 지난 5월 IPEF 이래 참여국들과 의제·향후 일정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자문위원과 논의 동향을 공유하고 대응 전략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IPEF에서는 공급망·디지털 등 그간 통상협정에 포함되지 않았던 이슈가 논의될 예정인 만큼, 정부는 민관협의로 이해관계자 관심 사항을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위원회 의견을 바탕으로 새 정부의 통상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위원회에서 청취한 민간업계 의견을 반영해 세계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고, 디지털·그린 전환도 모색한다.

안덕근 본부장은 이날 새 정부 출범 이후 2개월 동안 한미정상회담, IPEF 출범식, 제12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 등으로 우리 기업에 도움이 되는 통상 성과를 창출하고 선진 통상국가로서 국제사회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고 언급했다. 또 이 모든 성과는 견고한 민관협업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금일 자문위에서 논의되는 통상정책 방향 및 IPEF 등 통상현안 외에도 부산 엑스포 유치와 같은 다양한 무역통상 이슈에 대한 자문위원들 제언을 당부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