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한 달' 우상호 “정당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필요… 민주유공자법 본격 추진”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안정적인 정당 인재 양성 시스템 정착과 민주유공자법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정당의 안정적 인재 양성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유능한 인재들이 정치권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면서 “민주정책연구원(민주연구원) 산하에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 위원장은 현재 정치권의 인재 양성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 위원장은 “외부에서 영입돼 안착하고 성공한 인재도 있지만 당내에서 박탈감을 호소하는 인재도 있다”고 했다.

우 위원장은 여야 합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우 위원장은 “현재는 정당 산하 싱크탱크에 인재 발굴·양성이 허용돼 있지 않다”면서 “여야 협상을 통해 정당 내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을 싱크탱크 안에 둘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유공자법 추진도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지난 5일 광주 북구 망월동 민주열사묘역에 묻힌 이한열 열사 묘소 앞에서 민주유공자법 추진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우 위원장은 '셀프 입법'이라는 일각의 비판을 반박했다. 우 위원장은 “나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지만 보상을 바라지 않았다. 이를 등록해서 인정받는 절차조차 신청하지 않았다. 앞으로도 받을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숨진 사람은 국가가 제대로 평가해 줄 필요가 있다”면서 “민주유공자법은 이 열사 어머니인 배은심 여사의 마지막 유언이었다. 이제는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이를 추진할 단계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생존한 민주화 운동 관련자 말고 희생된 분들을 유공자로 인정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본다. 원 구성 합의가 안 돼 현재는 추진을 못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본격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내가 비대위원장으로 있을 때 (민주유공자법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기창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