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업계가 정부의 자율규제 방침에 맞춰 '외부 전문가그룹'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자문 위원과 협의체를 통해 활발한 정책 논의는 물론 기술 고도화로 이용자 보호 등 문제 해결에 머리를 맞대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당근마켓, 배달의민족, 뮤직카우 등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은 새로운 서비스의 공정성, 안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외부 전문가그룹을 활용하고 있다.
'하이퍼로컬'(지역밀착생활권) 신드롬을 일으키며 개인거래(C2C) 시장을 개척한 당근마켓은 업계 최초로 지난 4월 '프라이버시 정책 및 이용자 보호 위원회'를 출범했다. 개인정보 분야 외부 전문위원 7인을 선정하고 프라이버시 정책과 이용자 보호정책 모니터링, 분쟁 조정, 기타 이용자 민원 심의 및 해결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에 소비자 권익 보호의 최전방에 있는 소비자단체와 정례 협의회를 구성해서 C2C 다툼 양상을 논의하는 한편 대응 전략을 협의하고 있다. 국내 조각투자 대표 플랫폼인 뮤직카우 역시 전문 자문위원단 발족을 추진하고 있다. 자문위원단과 함께 관련 전문가도 대거 영입, 투자자 자산 보호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조직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일찌감치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를 통해 협력해 왔다. 인터넷 공간에서 이용자 표현의 자유와 책임감을 제고하는 한편 각종 부작용으로부터의 이용자 권리 보호에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허위조작정보 게시물 제한 근거를 마련했고, 올해는 차별표현 방지를 위해 '어학사전 서비스 이용자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네이버는 최근 '서울대 AI 정책 이니셔티브'(SAPI) 등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인공지능(AI) 윤리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또 네이버 뉴스 서비스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알고리즘 검토위원회'를 운영할 방침이다. 카카오는 '프라이버시 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왔다. 2015년 카카오의 첫 번째 투명성보고서 자문을 시작으로 카카오의 프라이버시 보호 현안과 이용자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안에 대한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또 외부 저널리즘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기구인 '미디어자문위원회'를 발족, 안전한 이용자보호 정책을 마련해 실행하고 있다.
플랫폼 업계에서 비공개 자문 모임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배달의민족은 학계와 연구원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비공개 연구모임 '배민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배달 업계 이슈부터 플랫폼 산업 규제 개선 연구 등이 포럼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당근마켓도 C2C 산업 분야 연구진을 비공개로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시장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정책적 검토 과정을 거쳐 하이퍼로컬 시장에 부합하는 기준을 정립해 나가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자율규제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면서 플랫폼 업계도 주어진 자정 기회를 활용해 스스로 공정성·투명성을 더 강화하려 하고 있다”며 “외부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모니터링해 적극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