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R&D) 로드맵을 수립했다. 2060년까지 약 1조4000억원을 투자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 필요한 104개 요소기술과 343개 세부기술을 개발한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확보를 위한 기술 역량을 축적하면서 관련 기술 국내외 시장 진출 확대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을 공개하고, 업계 의견수렴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은 고준위 방폐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국내 최초로 제시한 기술확보 청사진이다. 2023년부터 2060년까지 총 37년의 고준위 관리정책을 연계하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설계했다. 정부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에 필요한 핵심기술로 104개 요소기술과 이를 보다 구체화한 343개 세부기술을 도출했다. 각각 △운반 △저장 △부지 △처분 분야로 나눠 핵심·세부기술을 구분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해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초안 성격의 로드맵”이라면서 “추가 의견을 듣고 10월에서 11월 즈음 (로드맵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로드맵에 있는 기술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내년부터 2060년까지 총 1조3938억원을 투자한다. 운반·저장·부지·처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R&D에 9002억원,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 4936억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이다.
고준위 방폐물은 열과 방사능의 준위가 매우 높은 폐기물로 원전 가동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원전 가동이 확대되면 고준위 방폐물 발생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원전 확대와 고준위 방폐물 처리 문제는 같이 움직여야 한다. 세계적으로는 미국, 스웨덴, 핀란드 등이 고준위 방폐물 관리기술 선도국으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이들 국가 대비 운반 84%, 저장 80%, 부지 62%, 처분 57% 수준 기술 수준을 가지고 있다. 산업부는 장기적인 기술 개발 투자로 선도국 수준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산업부는 분야별로 '운반·저장' 기술 30개 중 미확보된 23개 기술은 국내 R&D(17개), 국제 공동연구(2개), 해외도입(4개) 등으로 2037년까지 모두 확보한다. 대규모 지질·항공탐사, 대심도 시추 등 '부지' 분야 기술 28개 중 19개 미확보 기술은 국내 R&D로 2029년까지 확보한다. '처분' 기술 46개 중 40개 미확보 기술은 국내 R&D(37개), 해외 도입(3개) 등을 통해 2055년까지 확정한다.
산업부는 이번 R&D 로드맵을 오는 10~11월 중 확정한다. 핀란드·프랑스 등 선도국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원자력에너지구(NEA) 등 국제기구와 협력해 R&D 로드맵을 보완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차원 원전 활용도를 제고하는 정책 추이에 대응하는 기술 역량을 속도감 있게 축적할 것으로 기대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과학적 합리성과 기술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추진한다. 향후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스템과 기술의 국내외 시장 진출 확대 계기도 확보할 것으로 봤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과학적 합리성에 기반한 안전관리 기술 확보를 통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R&D 로드맵을 기반으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과학계가 책임 있게 기술 확보에 나서 달라”고 말했다.
<표>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개요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표>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핵심기술 식별 결과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표>고준위 방사성폐기물 R&D 로드맵 분야별 요소기술 확보 일정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