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모터스, 친환경차 부품사로 변신

車 수소연료전지·배터리 부품 개발 완료
고객사 대상 양산 공급 타진 중
미래차 R&D 지속...M&A도 고려

삼보모터스 본사. 박진형 jin@etnews.com
삼보모터스 본사. 박진형 jin@etnews.com

내연기관 부품사인 삼보모터스가 친환경차 부품사로 전환한다. 수소전기차와 전기차 관련 부품 개발에 착수해 단기간에 양산 기술까지 확보, 고객사를 상대로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다.

정희은 삼보모터스 친환경개발본부 상무는 “2020년 수소연료전지 스택 금속분리판과 배터리시스템어셈블리(BSA) 사업을 위한 개발을 시작했고 양산 가능한 기술 수준까지 끌어올렸다”며 “회사 차원의 적극적 지원으로 단기간에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삼보모터스는 본사가 대구에 위치한 티어1 부품사다. 자동차 자동변속기 부품, 자동차 파이프류 제품 등을 생산한다. 미래차 부품 역량 확보를 위해 서울에 미래차기술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미래차기술연구소는 선행기술 연구개발(R&D)을 맡고, 본사 친환경개발본부는 양산개발을 담당한다.

삼보모터스는 수소연료전지 스택 핵심 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 기체확산층(GDL), 금속분리판 중 금속분리판을 개발했다. 각 부서에서 시험, 설계, 개발, 금형, 생산기술 전문가를 차출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정희은 삼보모터스 친환경개발본부 상무
정희은 삼보모터스 친환경개발본부 상무

정 상무는 “삼보모터스는 자동차 프레스 기술 분야에 강점이 있었고 성형 기술 핵심이 금속분리판과 기술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해 개발을 시작했다”며 “'안하면 안 된다'는 정신으로 R&D를 진행해 기술을 내재화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양산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후 양산 입찰에서 친환경 부품 협력사에 도전할 예정”이라며 “현재는 고객사와 긴밀하게 R&D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해 BSA사업도 준비했다. BSA는 고전압 배터리 이용 전기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전기 에너지를 공급함과 동시에 회생 제동 시 충전하는 시스템이다. 정 상무는 “재료, 화학, 전기전자, 제어기술 등 필요한 전문인력을 충원해 설계·평가·제조 기술을 확보했다”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생산기술을 앞세워 고객사 BSA 입찰에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삼보모터스는 친환경차에 필요한 자동차 감속기와 여러 벨브, 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일부는 이미 양산 납품 실적까지 보유하고 있다. 벨브류와 센서류는 갈수록 수요가 늘어나 시장 성장이 전망되는 분야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사업재편 승인을 계기로 R&D에도 속도를 붙이고 있다. 정 상무는 “자체 R&D만으로 미래차 부품에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며 “사업재편 승인을 받아 정부 과제 입찰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고, 과제 제한 수도 없어졌다. 학교, 연구기관 등과 적극 협업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 패러다임에 맞춰 전환하지 못하는 부품사들은 도태될 수밖에 없는데 삼보모터스는 일찍 대응했다”며 “자체 개발뿐 아니라 좋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인수합병(M&A)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구=

박진형기자 j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