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부산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이용해 인공 암 모델 개발

환자서 채취한 세포로 제작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활용
혈관·림프관 전이 경로 모사
치료제 효과 체외 관측 기대

암도 전략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암의 미세환경뿐만 아니라 주요 전이 경로인 혈관·림프관을 모사한 체외 암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향후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을 제작하면 개인별 맞춤 암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전이 경로인 혈관과 림프관을 모사한 체외 암모델을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조동우 포스텍 교수, 김병수 부산대 교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전이 경로인 혈관과 림프관을 모사한 체외 암모델을 개발한 연구진. 왼쪽부터 조동우 포스텍 교수, 김병수 부산대 교수

포스텍(POSTECH·총장 김무환)은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통합과정 조원우·안민준 씨, 김병수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배스(In-Bath)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전이성 흑색종 모델을 제작했다고 7일 밝혔다. 이 모델은 전이성 흑색종의 특성을 모사하는 암 스페로이드(Cancer Spheroid)를 인공 혈관·림프관 사이에 프린팅해 만들어졌다.

인-배스(In-bath)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제작한 혈관·림프관이 포함된 체외 전이성 흑색종 모델. 개발된 모델에서 암세포의 침습과 전이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배스(In-bath) 3차원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제작한 혈관·림프관이 포함된 체외 전이성 흑색종 모델. 개발된 모델에서 암세포의 침습과 전이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앞서 돼지 유래 피부 조직을 탈세포화해 만든 세포외기질 바이오잉크 배스(Bioink Bath) 안에 암 스페로이드를 바이오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암 스페로이드를 혈관과 함께 제작했다. 다만 기존 체외 암 모델에는 면역세포가 이동하는 통로이자 약물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림프관이 포함되지 않았다.

이번에는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암 스페로이드와 혈관·림프관이 공존하는 전이성 암 모델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 개발된 모델에서 암세포의 침습·전이와 기질 세포에 의한 약물 저항성 등 전이성 흑색종의 특징적인 현상이 관측됐다. 표적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조합을 적용하자 실제와 유사한 반응이 나타나기도 했다.

복잡한 체내 환경을 그대로 구현한 체외 암 모델을 이용하면 암을 더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환자마다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암의 진행과 치료제 효과를 몸 밖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항암 치료에 대한 환자 부담도 줄어든다. 나아가 개발된 암 모델에 면역세포를 적용하면 실제 암에서 일어나는 암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과 이로 인한 면역반응 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과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지원을 통해 이뤄진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게재됐다.

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