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선박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전송' 국제표준 제정 첫 걸음

데이터 서버 활용 선박-육상 데이터 송?수신 체계 개념도. <자료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데이터 서버 활용 선박-육상 데이터 송?수신 체계 개념도. <자료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우리나라가 스마트선박 핵심 기술인 '데이터 전송' 관련 국제표준 제정 첫 관문을 넘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선박과 육상간 통신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일반 요구사항'이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고 14일 밝혔다.

국표원 표준안은 자율운항 선박을 비롯한 스마트선박 구현에 필요한 표준이다. 선박과 육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상호호환 가능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송 방법을 표준화했다. 항만, 해운사, 조선사 등은 육상에서 선박 데이터를 공유하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안 기술 등을 제공한다.

표준안이 성사되면 항만 물류처리 속도에 맞춰 선적과 하역을 적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선박이 운행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항만에 접근하는 선박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보다 안전한 항해가 가능해진다.

NP는 국제표준 제정절차 첫 단계다. 국제표준(IS)은 신규작업표준안을 채택하면 작업반초안(WD), 위원회안(CD), 국제표준안(DIS), 최종국제표준안(FDIS)을 거쳐 제정된다.

국표원 표준안의 NP 채택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위원회 투표에서 중국, 일본, 독일, 노르웨이 등 다수 회원국이 찬성표를 던졌다. 신규작업표준안은 기술위원회 투표 결과 정회원국 3분의 2 이상 찬성, 5개국 이상 전문가 참여 등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채택된다.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이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표준안 개발을 주도했다. KOMERI는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이후 국제표준 제정 절차도 담당한다.

이상훈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조선해양분야에서 앞선 기술력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스마트선박의 핵심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게 됐다”면서 “우리 조선산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고부가가치 미래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이 분야 국제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