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40년까지 미래 모빌리티 상용화 일정을 담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내놨다.
오는 2025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 버스가 도입된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도심항공교통(UAM)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 2030년엔 UAM이 주요 권역별로 확산되는 것 등이 핵심이다.
로드맵에는 자율차, UAM, 디지털물류, 모빌리티 서비스 등의 국내 상용화 일정과 관련 법·제도화 구상까지 모두 담겼다.
그동안 우리 교통 관련 정책은 안전과 규제 위주였다. 국민의 안전한 일상에 무게를 두면서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 도입보다는 위험 회피와 함께 혹시 나타날 오류 제어에 신경을 더 쓴 게 사실이다.
하지만 세상과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를 포함한 모빌리티는 차세대 기술산업의 총아로 꼽힌다. 완성차와 여러 디바이스는 물론 다양한 부품과 솔루션, 서비스가 합쳐지는 미래 대표 종합산업이다. 다양한 파생산업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발맞춰 국토교통부가 중장기 차세대 모빌리티 전략과 정책 방향을 선제적으로 제시한 것은 환영할 만하다. 주요 기업들이 상용화를 준비할 중요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모빌리티 시장은 글로벌 주요 테크기업의 격전지다. 해외 주요국도 자율자동차를 포함한 차세대 모빌리티 개발과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왕 움직이려면 경쟁자보다 먼저 기동해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그동안 쌓아 온 정보통신기술(ICT)의 강점을 살려 미래 자율차와 UAM,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점할 수 있게 된다면 더 좋겠다.
이번 일회성 정책 발표로 그쳐서는 안 된다. 정부가 정책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면서 우리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