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기술을 민간이 이전받는 '체계종합기업' 선정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체계종합기업은 이전받은 누리호 기술을 토대로 우리나라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를 이끌어갈 중심이 되는 만큼 최종 선정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7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누리호 기술 이전을 위한 체계종합기업 우선협상 대상기관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체계종합기업은 현재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 일환으로 함께 추진되는 사업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에 우주기술을 이전, 현재 세계 민간 우주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 기업으로 육성한 사례를 활용, 민간 발사 서비스 상용화 선도주자 격인 이른바 '한국형 스페이스X'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현재 최종 선정을 두고 경쟁을 벌이는 곳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이들 두 기업은 한국형발사체 시스템, 서브 시스템, 구성품(지상 시스템 포함) 등을 제작 또는 조립해 납품한 실적이 있거나, 계약해 개발하고 있는 자격 등을 모두 충족해 지난 7월 시작된 공모에 참여, 지난달까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기술능력평가를 받았다. 기술능력평가에서는 과거 실적 및 개발역량, 사업수행계획, 산업화 지원 및 발전전략 세 개 대분야에 대한 평가가 진행됐다.
KAI의 경우 앞선 누리호 제작 과정에서 약 300개 기업이 각각 제작한 발사체 부품 조립을 총괄하는 체계 총조립 임무를 수행한 바 있다. 앞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위성기술 이전을 통해 차세대 중형위성 1호 개발 성공, 2호 양산 체제 구축 경험 등도 강점으로 꼽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핵심인 75t급 엔진을 개발·납품한 실적이 주된 성과다. 누리호 산화제·연료펌프, 페어링, 추력기 시스템 등 발사체 주요 부품부터 시험설비까지 제작 능력을 보유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기술능력평가를 모두 마친 이들 기업은 7일 예정된 우주개발진흥실무위 개최 전까지 입찰가격평가를 받게 된다. 기술능력평가와 입찰가격평가 합산점수의 고득점순에 의해 협상 순서가 결정된다.
과기정통부는 일련의 평가 과정 간 공정성 등을 살피는 중으로, 우주개발진흥실무위를 통해 절차상 문제가 없었음을 최종 심의한 뒤 곧바로 평가지를 공개하고 최종 결과를 발표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기술능력평가 결과는 밀봉된 상태”라며 “최종 결과 발표 전까지는 내부적으로도 선정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우선협상 대상기관을 선정하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오는 11월부터 누리호 기술에 대한 이전 비용을 비롯해 기술 이전 상세 범위 등을 협의 및 확정하고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다.
우선협상 대상기관은 내년 상반기 예정된 누리호 3차 발사 과정에 곧바로 참여해 현재 1·2·3 단별 제작이 완료된 누리호 총조립을 진행한다. 이후 2027년까지 예정된 3차례 추가 발사 과정에서 직접 발주 및 제작 등을 진행하며 700㎞ 태양동기궤도에 1.5t급 위성을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우주발사체 전주기에 해당하는 기술을 이전받게 된다.
이전 기술을 토대로 향후 독자 발사체 개발 및 자체적인 우주 운송 사업을 개진할 수 있는 토대를 쌓게 될 전망이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