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근로자 급격히 늙었다...경쟁력 약화 우려

우리나라 제조업의 고령 근로자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고령화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빠르게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향상 속도를 앞지르면서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청년, 고령 근로자 비중 추이.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청년, 고령 근로자 비중 추이.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6일 최근 20년간(2001~2021년) 한국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서 고령 근로자(50세 이상) 비중은 2001년 11%에서 2021년 31.9%로 20년새 무려 20%포인트(P) 증가했다. 청년 근로자(15~29세) 비중은 2001년 29.7%에서 2021년 14.8%로 14.9%P 감소했고, 30대 근로자는 33.9%에서 26.4%로 줄었다.

미국, 일본과 비교해도 한국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다. 2011년부터 최근까지 10년간(2011~2021년) 한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1년 43.0세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본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41.6세에서 43.1세로 바뀌었다. 미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2011년 44.1세에서 2021년 44.2세로 집계됐다.

한국 제조업 근로자들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며 올해 처음으로 한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이 일본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을 추월할 전망이다. 이어 2025년에는 미국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도 넘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경련은 국내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건비 등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생산성 증가 속도보다 빠른 것을 꼽았다. 노동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노동비용 증가는 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제조업 노동 비용총액은 2011년 약 489만원에서 2020년 604만원으로 23.5% 증가했지만,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증가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직무능력 또는 직무 가치에 따라 임금을 정하는 직무급·직능급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통해 청년 고용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