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구축한 지방자치단체, 소방 당국, 경찰간 재난안전 통신망이 이태원 참사 당시 활용이 미흡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4일 이태원 참사 중앙재난안전관리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재난안전통신망은 버튼만 누르면 유관기관간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지만, 이번에는 그 부분이 잘 작동이 안 됐다”고 말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양경찰 등 재난 관련 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소통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으로,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필요성이 부각돼 지난해 구축 완료됐다. 예산 1조5000여억원이 배정됐다.
김 본부장은 “사실 버튼만 누르면 통화그룹에 포함된 기관이 연결해 통화를 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그 부분이 작동이 잘 안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기관 내부에서의 통화는 통신망으로 원활히 이뤄졌다”며 “가령 경찰 단말기는 현장에 1500대가 있었고 그 단말기들이 동시에 통화했고, 소방과 의료기관도 마찬가지로 (기관별) 통화에 이 통신망을 사용했다”고 덧붙였다.
112·119 신고 통합 필요성도 제기됐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112·119 보고체계가 통합돼야 한다는 필요성에 누구나 공감한다고 생각한다”며 “빠른 개선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중대본은 사상자와 가족에 대한 장례와 부상자 치료, 구호금 지급, 심리치료·상담 등을 원스톱으로 처리하기 위해 '이태원 사고 원스톱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한다.
방 실장은 “원스톱 통합지원센터는 중대본 소속으로 통합민원실 형태로 설치되며, 총리실 국장을 센터장으로 행안부, 복지부, 서울시 등에서 인력을 파견받아 1센터장 4팀으로 구성되어 관련 지원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9일 밤 발생한 이태원 참사로 이날 오전 11시까지 사망자 156명, 부상자 191명 등 총 34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부상자 중 경상자는 158명, 중상자는 33명이다. 사망자 중 130명은 내국인, 26명은 외국인이다.
권혜미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