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증안펀드 출자금 위험 가중치 100%로 하향”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9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개최된 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9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개최된 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적극적인 자금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출자금에 적용하는 위험 가중치를 100%로 하향하기로 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9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열고 “은행권은 전체적인 금융시스템을 보면서 시장 안정에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과도한 심리적 위축에 따른 신용경색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자금 흐름 물꼬를 트는 데 정부의 시장 안정 대책과 은행의 노력이 결합하면 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자금 지원 및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은행의 증안펀드 출자금에 적용하는 위험 가중치를 코로나19 때와 같은 250%에서 100%로 낮춰주기로 했다. 은행이 출자를 수월하게 하려는 조치다.

앞서 금융당국은 은행권 자금 조달과 운용 지원을 위해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정상화 유예 조치와 예대율 규제 완화 조치를 한 바 있다.

은행장들도 제2금융권 신용 유지에 협조하고 기업어음(CP),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과 20개 은행장은 5대 금융지주의 95조원 지원 계획 중 90조원이 은행을 통해 집행될 예정이라며 제2금융권 크레딧 라인 유지에 어려움이 없도록 은행권이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했다. 또 CP, ABCP 등 매입 등으로 단기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이 지난 10월 한 달간 CP, ABCP, 전단채를 매입하는 데 4조3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와 특수은행채·여신전문금융회사채는 각각 5조9000억원, 6조5000억원 매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재근 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박성호 하나은행장, 권준학 농협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김민영기자 my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