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이어 우리나라 심우주 탐사를 위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이 본격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제9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고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등 국가 연구개발(R&D)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차세대발사체는 우리나라 대형 위성 발사와 우주탐사에 활용할 발사체로 지난 6월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대비 대폭 성능이 향상된다. 개발 기간은 오는 2032년까지로 총사업비 약 2조 132억원이 투입된다.
차세대발사체 1단은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 엔진 5기를 클러스터링해 구성하고 2단은 1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 엔진 2기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차세대발사체는 누리호 1단 총 추력이었던 300톤보다 많은 500톤 추력 성능을 보유한다. 향후 재사용 발사체로 개량할 수 있도록 엔진에는 재점화, 추력 조절 기술도 적용한다.
차세대발사체는 그동안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도로 개발이 이뤄졌던 나로호, 누리호와 달리 사업 착수 시부터 앞서 선정된 체계종합기업과 공동 설계에 돌입할 계획이다. 기업이 설계, 제작, 조립, 시험, 발사 등 발사체 개발, 운용 전 단계에 참여하며 독자적 발사체 개발 능력을 체계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차세대발사체는 개발 기간 동안 총 3회 발사 예정으로, 2030년 달 궤도 투입 성능검증위성을 발사해 발사체 성능을 확인하고, 2031년에는 달 착륙선 예비모델을 발사해 우리나라 최초 달 착륙 임무 달성을 도울 예정이다. 개발 기간 마지막 해인 2032년에는 달 착륙선 최종 모델을 발사한다.
차세대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현재 민간기업으로 기술이전 중인 누리호와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인 발사체로서 임무를 수행한다. 누리호는 지구 저궤도 위성(약 1.9톤 이하) 투입, 차세대발사체는 누리호로 발사가 어려운 대형 위성 투입과 달, 화성 탐사선 발사 등 우주탐사에 활용할 계획이다.
총괄위원회는 이날 또 필요성이 인정되는 주요 정책 관련 사업 예타 수행 기간을 기존 7개월에서 약 4.5개월로 단축하는 내용 등을 담은 국가 R&D 사업 예타 운용지침 및 총괄 수행지침 개정안을 함께 의결했다.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은 추진체 기술력을 한 단계 발전시켜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상징적 사업이 될 것”이라며 “사업 추진을 통해 기술적 성과뿐만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핵심 기술 국산화 및 관련 부품기업 매출 성장 등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2032년까지 2조132억원 투자
-
이인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