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복합재를 제2 철강산업으로 육성한다. 일본, 미국 등이 독과점하는 탄소복합재 시장에서 2030년까지 점유율 10%를 달성하고, 탄소섬유 생산능력을 2만4000톤 이상으로 확충하는 등 경쟁력을 제고한다. 또 민관 합동 '탄소복합재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2030년까지 소형발사체 등 우주항공·방산 3대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탄소섬유 기술로드맵을 이행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체계적으로 발굴·관리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4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우주항공·방산 시대에 대응하는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탄소복합재는 탄소섬유 및 탄소섬유에 플라스틱 수지 등 첨가해 만든 중간재다. 철 4분의 1 무게에도 10배 강도를 가진 고강도 경량을 특징으로 하는 우주항공·방산 필수 소재다. 탄소복합재 세계시장은 2030년 1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미래 산업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는 2030년까지 탄소복합재 시장 점유율 10% 달성을 목표로 △핵심 기술 확보 △민간 생산능력 확충 △우주항공 분야 3대 실증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
고성능 탄소복합재 분야 기술 자립화와 반값 탄소섬유 개발을 위해 2030년까지 1850억원을 투자한다. 지난 8월 원천기술을 확보한 인장강도 6.4기가파스칼(GPa) 수준 고강도 탄소섬유는 2025년까지 양산체제를 구축한다. 인장강도 7.0GPa 초고강도 탄소섬유, 인장탄성률 588GPa 초고탄성 탄소섬유 등은 정부 우주발사체·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일정에 맞춰 민군 기술협력사업으로 2028년까지 원천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저가 전구체나 저에너지 공정기술을 개발해 킬로그램당 20달러에서 10달러 수준으로 생산가격을 낮춘 반값섬유를 개발·상용화도 추진한다.
정부는 국내 생산시설 확충에 2030년까지 2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또 연간 3000억원 규모 대출에 대해 이자보전 등 장기 저리융자 지원을 추진해 국내 탄소섬유 생산능력을 2028년 2만4000톤에 도달하도록 할 지원할 계획이다. 탄소복합재를 신성장·원천기술 범위에 반영해 세액공제를 추진하는 한편 탄소복합재 제조공정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도 나선다.
정부는 총 1000억원 규모 우주항공 3대 실증 프로젝트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탄소복합재 기업과 우주항공기업 컨소시엄을 구성해 소형 발사체 2024년, 저궤도 인공위성 2026년, 4인승급 UAM 2027년 등 개발·제작·시험 전주기에서 실증을 수행하고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내년 탄소섬유 중간재, 부품 및 우주항공·방산 기업 등 주요 기업이 참가하는 '탄소복합재 얼라이언스'를 출범한다. 탄소섬유 기술로드맵 이행을 점검하고 규제제도 개선, 기업 투자 인센티브 관련 애로사항을 체계적으로 발굴·관리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우주항공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K-방산을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만큼 필수 소재인 탄소복합재 내재화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이번 전략을 잘 이행한다면 '미래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복합재 자립화 달성은 물론 제2 철강산업으로 육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호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