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국산 AI 반도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점유율 80%

과기정통부, K-클라우드 추진방안 발표…총 예산 8262억원 투입
초고속·저전력 반도체 기술 개발, 내년 데이터센터 적용 실증 시작
안전·보건·교육·국방 우선 도입…국산 경쟁력·국민편익 제고 기대

2030년 국산 AI 반도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점유율 80%

정부가 2030년까지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의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 점유율을 80%까지 늘린다. 이와 동시에 국내 AI반도체 기술 수준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총 8262억원을 투자, 초고속·저전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인공지능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의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K-클라우드' 추진방안은 최고 수준의 초고속·저전력 국산 AI반도체를 개발,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에 향상된 AI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국산 AI반도체를 3단계에 걸쳐 고도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확보한다.

1단계(2023년∼2025년)로 상용화 초기 단계에 있는 국산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지속적으로 고도화(추론→학습)하고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성공 레퍼런스 확보 및 초기 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이어 2026년부터 2028년까지 D램 기반 상용 PIM(Processing in Memory)과 국산 NPU를 접합, 글로벌 수준의 연산 성능을 저전력으로 구현(D램 기반 PIM)한다.

2029년과 2030년 2년간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활용, 아날로그 MAC(Multiply Accumulate) 연산 기반의 NPU·PIM을 개발, 극저전력화를 달성한다.

국산 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기 위한 SW 예타사업도 추진한다.

예타 사업을 통해 국산 AI 반도체에서 딥러닝 등 AI 알고리즘을 초고속·극저전력으로 실행하는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AI모델 자동 병렬화 기술 등과, 이를 상용 클라우드에 적용하기 위한 가상머신(VM) 및 컨테이너, 가상 서버 클러스터 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단계별로 국산 AI 반도체의 데이터센터 적용 및 AI·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1단계 실증사업으로는 국산 NPU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신규)과 기존 AI·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사업을 연계해 2023년 428억원, 2025년까지 3년간 약 1000억원(잠정)을 투자한다.

실증사업은 사회적·경제적 파급력과 수요가 높은 안전·보건·교육·국방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K-클라우드' 추진을 위한 민·관 협업 창구 마련 및 주요 과제 발굴을 위해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를 구성했다.

이날 'K-클라우드 프로젝트' 성공적 추진을 위한 '국산 AI반도체 기반의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K-클라우드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AI 반도체 기업, 클라우드 기업, AI 서비스 수요·공급 기업 및 관련 협회, 정부·연구기관 등 40여개 기관으로 출범했지만 향후 지속 추가 예정이다.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 사무국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담당하고 분과별 운영을 통해 'K-클라우드' 관련 사업(데이터센터 실증사업, SW 예타사업 등)에 대한 참여 기관간 의견 수렴과 협력 방안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 AI 반도체 및 클라우드 경쟁력을 높여 국민이 보다 좋은 AI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산·학·연이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2030년 국산 AI 반도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점유율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