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업 51.5%, 디지털전환 대응 R&D 투자 늘렸다

산기협, 하반기 R&D 동향조사
신기술 접목 서비스 개발 추진
경제 불안·인력난 등 위축 요소로
“산업 고도화 위한 정부 지원 필요”

서비스 기업 51.5%, 디지털전환 대응 R&D 투자 늘렸다

서비스업 영위 기업 절반 이상이 올해 하반기에 새로운 연구개발(R&D)을 추진하거나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 비대면 업무 확대에 따른 업무환경 변화 등이 정보통신기술(ICT) 기술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 접목 등 기술혁신 동인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하반기 기업 R&D 동향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서비스 분야 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9~11월 대면조사 했다. 조사 결과 서비스 분야 기업 51.5%가 새로운 R&D를 추진하거나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R&D 투자 영향요인 분석 결과, 인공지능(AI)·메타버스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나 빠른 서비스 시장 트렌드 변화 등은 서비스업 R&D 투자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3고(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경제 불확실성, 주요 기술 분야 인력확보 경쟁 심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등은 투자를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슈가 R&D 활동에 미친 영향
주요 이슈가 R&D 활동에 미친 영향

응답 기업들은 서비스업 R&D 투자 활성화 정책 방안으로 △정부의 서비스 R&D 투자 규모 확대 △서비스 R&D 핵심 인력 양성 및 고급인력 지원 △서비스 R&D 세제 및 금융지원 강화 등을 제안했다.

서비스업 R&D 투자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서비스에 대해 제값을 치르지 않는 사회문화' '개발된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불확실성'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으며, '정부의 제조업 중심의 지원제도 운용' 및 각종 규제 역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중심 지원제도'와 관련, R&D 세제지원의 경우 응답한 서비스 기업 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 금액은 평균 2650만원 수준으로 제조업 평균 9380만원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기업들은 △서비스업에 적합한 조세지원 제도 부족 △제도 복잡성 등이 조세지원 제도 활용의 주된 어려움이라고 응답했다.

R&D투자를 저해하는 규제요인
R&D투자를 저해하는 규제요인

또 서비스업 R&D 투자를 저해하는 규제로 '인허가 등 진입규제(32.5%)' '고용(노동)규제(15.6%)' '중소기업 적합업종 규제(12.3%)' 등을 꼽았다.

장기화한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업무 확대 등으로 서비스 기업들 R&D 근무 형태도 바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 이상(58.5%) 기업들이 비대면 근무를 R&D에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업의 활용비율(62.5%)이 높게 나타났다.

비대면 근무 범위에 대해서는 특정 직무(31.3%)나 특정 근로자(20.5%)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제한을 두지 않고 운영하는 경우도 상당수(36.8%)로 나타났다.

비대면 근무 효율성에 대해서는 '효율적(37.6%)' '차이 없음(28.2%)' '비효율적(34.2%)' 응답 비율이 각각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 기업의 61.7%는 재택근무를 현행대로 유지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확대 의견도 29.1%로 나타나 비대면 근무가 하나의 근무 형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우리나라 산업구조 상 서비스업은 일자리나 부가가치 창출 면에서 제조업을 뛰어넘었음에도 아직 정부 지원은 제조업 중심으로 치우친 경향이 있다”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구분이 불투명해지고 다양한 서비스 활동에 제조업의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서비스업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가 제도적으로 적극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