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연구개발(R&D) 사업 연구성과 확산을 위해 올해 처음 시행된 성과 관리·활용 계획이 시행을 통해 성과 활용성 촉진 등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각 부·처·청이 수립한 국가 R&D 사업성과 관리·활용 계획과 효과성 분석 결과를 제45회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 보고했다.
성과 관리·활용 계획은 국가 R&D 사업으로 창출된 연구성과를 확산하기 위한 계획으로 사업 종료 다음 해에 작성하며, 효과성 분석은 종료 후 5년 이내 종료 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성과 관리·활용 활동을 수행한 결과와 성과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올해는 16개 부처 78개 사업에 대해 성과 관리·활용 계획을 수립했고 9개 부처 23개 사업에 대해 효과성 분석을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계획수립과 분석 중 일부에 대해 점검이 제대로 수행됐는지 적절성을 점검했다.
과기정통부 적절성 점검 결과 성과물 수요자와 수혜자를 사업 특성에 맞춰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성과 공급자와 연계방안을 체계적으로 작성해 높은 사업 성과 파급이 기대되는 사례로 농촌진흥청 'Goldenseed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다부처 사업인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은 다부처 통합 사업단을 통해 사업을 추진한 후 부처 역할과 소관에 따라 전문기관으로 이관해 성과학산 기능을 수행한 점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 효과성 분석에 대한 적절성 점검 결과 환경부 토양·지하수 오염 방지기술 개발 사례가 창출된 성과를 타 부처·지자체·기업 등으로 연계해 확산하고, 후속 사업을 추진해 다각적 성과 활용 활동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현 과기정통부 성과평가정책국장은 “국가 R&D 사업 종료는 끝이 아닌 R&D 전주기 관점에서 성과 확산이라는 단계에 진입한 새로운 시작”이라며 “보다 많은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 및 제도 개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
이인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