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절벽에 이어 2025년을 전후해 '인재 절벽'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고학력 인재마저 불균형에 의한 부족 사태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인재 저변을 넓히는 한편 불균형 해소를 위한 복합적인 해결책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이공계 학생들의 의·약대로의 이탈과 전공 쏠림 현상으로 국내 대표 대학들마저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2023학년도 연세대·고려대·한양대 반도체 계약학과 수시 최초 합격자들의 대거 등록 포기 사실이 알려지면서 충격을 줬다. 이들 대학의 수시 모집 최초 합격자는 84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69%인 58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이다. 각 대학에 따르면 전액 장학금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취업 보장을 포기하고 합격자들은 의대·약대를 택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2025년부터는 이공계 대학원의 입학자원 감소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학령인구 감소, 교육부의 대학정원 동결·감축에도 지난 20년 동안 이공계 대학원생은 증가 추세였다. 하지만 초저출산 여파로 마지노로 여겨지던 이공계 대학원 정원마저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일부 전공의 선택률이 급감, 양극화되고 있다. KAIST는 무전공으로 입학한 후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전공을 선택하는데 전산학부는 지원자가 매년 증가하는 데 반해 원자력, 건설 및 환경, 생명화학공학과 등은 급감했다.
산업 대전환에 필요한 고급 인재 층이 급격히 얇아지고 있다. 초저출산에 의해 신규 유입 연구 인력이 줄어든 만큼 인재 층을 유지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신기술 분야는 재교육을 통한 인재 확보나 적극적인 이민 확대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정부는 인재 절벽 대책으로 올해부터 평생학습체계를 개편하고 대학을 지역 혁신의 허브로 발전시키는 사업을 추진한다. 학령기 인구 교육에 집중하던 대학을 평생교육 기관으로 재편해 성인들의 재교육과 향상교육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윤석열 대통령도 신년사에서 올해 반드시 이룰 3대 개혁의 하나로 교육 개혁을 언급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는 “사회부총리가 총괄·조정하는 국가-지자체-민간 평생학습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면서 “정책 중복 및 사각지대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
문보경 기자기사 더보기